경제·금융 보험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기업 경영은 이해관계자와 공생하는 것"

ICSB 포럼서 한국 기업인 첫 기조 연설

"직원·고객·투자자 함께 발전

창업자부터 이어온 인본주의

지속가능 '선순환' 결실 이뤄"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ICSB 포럼에서 한국 기업인 최초로 기조연설자로 나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제공=교보생명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ICSB 포럼에서 한국 기업인 최초로 기조연설자로 나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제공=교보생명



“기업 경영의 궁극적 목적은 직원과 고객·투자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비즈니스 도구가 아닌 인격체로 존중하며 이들과 함께 균형 발전하는 것입니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유엔과 세계중소기업협회(ICSB)가 주최한 포럼에 한국 기업인 최초로 기조 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신 회장은 각국을 대표하는 중소기업 경영자, 학자, 관료 등 200여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인본주의 경영론’을 펼쳤다.

이번 연설은 ICSB가 한국 대기업인 교보생명의 ‘이해관계자 경영(Stakeholder Relationship Management)’ 사례와 경영철학을 중소기업 관계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신 회장을 연사로 초청하면서 실시됐다.


‘지속 가능한 인본주의적 이해관계자 경영’을 주제로 연설한 신 회장은 선친인 신용호 창립자 때부터 이어온 인본주의 기업문화와 생명보험업의 밑바탕에 깔린 휴머니즘이 교보생명 경영철학의 배경이 됐다고 소개했다. 또 스스로 불임 전문 의사로서 시험관 아기를 연구하며 생명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었던 경험도 ‘사람을 중시하는 경영’에 집중할 수 있게 한 요인이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 회장은 “리더가 직원을 만족시키고 직원이 고객을 만족시키면 만족한 고객이 저절로 회사의 이익에 기여하게 된다”며 “회사가 모든 이해관계자를 균형 있게 고려할 때 기업의 이익은 더욱 커지고 모든 이해관계자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선순환’을 만들어 지속가능 경영을 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결국 경영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익이 아니라 모든 이해관계자와 함께 발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영자는 특정 그룹의 이익을 위해 다른 그룹의 이익이 침해되지 않도록 끊임없이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고경영자(CEO)의 역할도 강조했다. 그는 “CEO의 ‘E’는 경영(Executive)의 의미뿐 아니라 권한분산(Empowerment), 오락(Entertainment), 상상(Envisioning), 교육(Education), 격려(Encouraging)의 의미도 포함돼 있다”며 “CEO는 다양한 역할을 할 때 항상 언행일치와 솔선수범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신 회장은 30여분간 통역 없이 영어로 강연을 진행했다. 자신의 생생한 경영사례를 바탕으로 유머를 섞어가며 평소 지론을 흥미롭게 펼쳐내 참석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신 회장은 “오늘날 우리 사회는 기업이 경제적 가치뿐 아니라 인본주의적 가치를 창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에이브러햄 링컨 미 대통령의 말을 인용해 “기업경영은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자에 의한, 이해관계자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강연을 마무리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