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신흥국 자금이탈 가속 글로벌경기 우려 커진다

채권펀드서 3주새 40억弗 유출

美 금리인상도 예고 불안감 고조

신흥국의 자금이탈 속도가 빨라지면서 ‘6월 위기설’에 갈수록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신흥국 통화위기가 글로벌 경기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특히 미국 금리 상승에 따른 경제 충격이 신흥국에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보고서까지 나오면서 신흥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은 점차 고조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이머징마켓포트폴리오리서치(EPFR)에 따르면 신흥국 채권펀드에서 빠져나간 자금은 지난 3주 사이 40억달러에 달했다. 또 지난 한주 사이 신흥국 주식펀드에서 투자자들이 빼간 자금도 지난해 8월 이후 최대 규모인 16억달러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이처럼 자금이탈에 속도가 붙는 것은 다음달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이 유력해지면서 미 국채금리 급등과 달러 강세 기조 여파로 신흥시장의 자금 압박이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올해 들어 20% 넘게 통화가치가 급락한 아르헨티나가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면서 신흥국 자산에 대한 불안감이 더욱 증폭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금리 인상은 신흥국 통화가치를 끌어내리는 데 그치지 않고 경제 성장 속도도 큰 폭으로 둔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미 연준 소속 경제학자인 마테오 이아코비엘로, 개스턴 나바로는 국제금융 토론 보고서를 통해 미국 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신흥국 국내총생산(GDP)이 3년 후 0.8% 감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선진국 역시 성장이 둔화하지만 신흥국보다는 충격이 덜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같은 기준의 통화 충격은 2년 뒤 미국 GDP를 0.7% 감소시키고 미국 외 선진국에서는 통화 충격 3년 뒤 GDP가 0.5%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 상승에 대한 외국의 반응은 명암을 모두 보여준다”며 “미국의 통화 충격에 미국 경제보다 오히려 외국, 특히 취약한 신흥국 경제가 더 크게 반응할 수 있다는 점이 어두운 점”이라고 지적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