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김학도 원장 "베트남 등 동남아와 기술협력 강화, G2 무역파고 넘어야"

■김학도 산업기술진흥원장

국내외 기업 '기술 중매' 등

신남방정책 첨병 역할할 것

김학도 산업기술진흥원장./권욱기자김학도 산업기술진흥원장./권욱기자



“기술 협력은 상품 교역과 비교해 정치적 상황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한국이 가진 기술 강국 이미지를 활용해 기업의 해외진출을 도와야 합니다”

김학도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은 15일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G2(미국·중국)가 깊숙이 개입된 동북아 정세에 따라 휘청이는 우리나라의 ‘무역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선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기술협력’을 통한 신(新) 시장 개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가 내세운 신(新) 남방정책의 첨병이 되겠다는 것이다.


김 원장은 “베트남과 FTA 협상을 할 때에도 농산물과 관련한 기술협력을 제안하자 이를 계기로 FTA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고 나갔다”며 “개도국과는 기술이전 및 현지진출을 목적으로 한 국제개발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을 지낸 김 원장은 베트남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주도한 바 있다. 현재 KIAT는 올해 하반기 필리핀과 캄보디아에 기술지도를 위한 센터(TASK·Technology Advice and Soulution from Korea)건립에 나서고 내년 상반기에는 싱가포르에도 기술협력 거점 개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베트남과는 문재인 대통령의 순방을 계기로 TASK 센터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김 원장은 “TASK에선 한국 기술전문가와 교수가 현지에 파견돼 기술자문을 할 것”이라며 “TASK 센터가 중소·중견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위한 아세안 권역 거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KIAT는 신북방정책의 일환으로 아제르바이젠과 러시아 모스크바에 각각 TASK 센터와 기술협력거점 개소 건립도 준비하고 있다.

관련기사



김 원장은 연구개발(R&D) 개편방향에 대해선 P&D(Platform & Development)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기술 개발부터 제품화, 판로개척. 수출 지원 등을 종합 지원함으로써 선순환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는 P&D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현 R&D 제도는 과제 성공만 중시하고 연구개발 성과가 시장에서 실제로 꽃피울 수 있도록 하는 사업화 지원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이을 위해 KIAT는 공공연구기관들의 R&D 결과물의 사업화를 돕는 사업화지원 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했다. 100억원의 예산을 들여 20개 내외 과제에 지원할 예정이다.

김 원장은 대기업의 기술이전 등 대·중 상생문화를 정착하기 위해선 동반성장지수 가점 확대 등 ‘인센티브’ 도입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기업의 기술 이전은 ‘자율적 무상이전’이 전제”라며 “기업들의 자율적 참여를 이끌어내려면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KIAT는 기술 나눔 제도를 운영해 지난해에만 삼성전자와 포스크로부터 기술 1,115건을 받아 65개 기업에 177건의 기술을 무상이전했다. 현재 기술이전을 한 대기업에 대한 동반성장지수 가산점은 2015년 0.5점에서 2016년 1점으로 오른 이후 정체된 상황이다.

김 원장은 KIAT를 국제 기술 협력의 전담기관으로 키우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그는 “외국 기업이 한국의 기술이 필요하면 어느 기업을 찾아야 할 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해서 KIAT가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을 연결해주는 ‘기술 중매’, 플랫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갖추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