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협동조합 경쟁력 제고 위해 전담기구 설치 등 입체적 지원 필요

중기중앙회-더불어민주당, 中企협동조합 운동 패러다임 전환 정책토론회

16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중소기업협동조합 운동 패러다임 전환 대토론회’에서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중기중앙회16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중소기업협동조합 운동 패러다임 전환 대토론회’에서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중기중앙회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담기구를 설치하는 한편 업종간 융복합을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6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중소기업특별위원회 및 중소기업연구원과 함께 ‘중소기업협동조합 운동 패러다임 전환 국회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동일한 업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간 자조조직인 중소기업협동조합은 지난 1962년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정 이후 50여년간 산업화 시대의 경제개발의 첨병으로서, 공동구매·공동판매 등 규모화를 통한 공동 사업을 중심으로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다양한 업종간 융복합이 활발히 이뤄지는 4차 산업혁명의 물결 속에서 성장 속도가 정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중소기업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문재인 정부는 중소기업간 협업사업을 활성화하여 국민경제가 혁신성장 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며 “동일 업종간 협업은 물론 이업종간 협업도 활성화하기 위한 협동조합의 체질개선을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은 “협동조합은 중소기업이 단독으로 실시하기 어려운 사업을 규모화를 통해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업종간 융복합이 어우러지면서 그 과실은 참여자에게 동등하게 분배되는 ‘더불어 잘사는 경제생태계’ 구축을 위한 플랫폼”이라며 “조직화된 동일업종 협동조합 체제를 바탕으로 업종간 융복합을 통해 사회적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협업생태계 구조로 발전해 나아갈 수 있도록 업계 및 국회, 정부 등과 함께 미래의 청사진을 그려 나가겠다”고 밝혔다.

‘중소기업협동조합, 과거로부터의 성찰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동열 중소기업연구원장은 “중소기업 네트워크 조직으로서의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가치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협동조합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위해 협동조합의 자발적인 노력은 물론 정부, 중소기업중앙회 등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내에 중소기업간 네트워크화 및 협업화를 촉진하고 관련 시책을 정비하기 위한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담기구인 ‘(가칭)협업지원국’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중기중앙회 역시 회원 구조를 다양화하고 중소기업 신성장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정관에 추가해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원장은 “중소기업협동조합 진흥기금 설치 및 중소기업공제사업기금 개선 등 중소기업에 긴요한 ‘자금’이 지원 될 수 있는 정책자금을 활성화하는 한편 민간영역에서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서승원 더불어민주당 수석전문위원, 이상훈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정책관, 조용준 한국제약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송재일 한국협동조합학회 상임이사, 이인우 한국협동조합연구소 소장, 이원섭 중소기업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 등 각계의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문가가 패널로 참여하고 100명이 넘는 중소기업 및 협동조합 관계자가 참석했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