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트럼프 대통령 "북미정상회담 진행한다면 여전히 비핵화 요구할 것"

16일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밝혀

북측에서 정상회담 취소협박성 담화 나왔지만

트럼프 "전혀 통보 받지 않았다"고 기자들에 밝혀

'김계관 담화'를 北 내부용 정치메시지로 파악하는듯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북한의 북미정상회담 취소 협박과 관련해 “우리는 전혀 통보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북미정상회담이 진행된다면 여전히 북한의 비핵화를 요구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일방적 핵포기만 강요시 북미정상회담을 재고려할 것이라는 취지의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 1부상 담화가 조선중앙통신 보도 형식으로 나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비핵화를 설득하기 위한 양국간 정상회담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환영행사 도중 기자들로부터 김 제 1부상의 협박성 담화와 관련한 질문을 받자 이 같이 답한 뒤 “우리는 (북미정상회담 취소 협박을) 전혀 보지도, 듣지도 않았다. 무슨 일이 일어날 지 보겠다”고 덧붙였다는 게 AP의 전언이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대해 여전히 희망적이라고 전하며 회담 준비는 지속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기류로 미뤄볼 때 미국 정부는 김 제 1부상의 담화가 대외용이라기보단 대내용 정치선전의 일환이라고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한 고위당국자도 “북한 내에선 그동안 대북 제재로 인한 ‘고난의 행군’ 속에서 수많은 인민(북한 주민)들의 희생을 견뎌가며 개발한 핵무기를 포기하는 데 대해 불만을 가진 여론도 일부 존재하는 것 같다”며 “김 제 1부상의 담화를 이런 자국내 반발 여론을 다독이려는 차원의 선전선동 메시지로 볼 여지도 있다”고 분석했다. 김 제 1부장은 이날 담화에서 백악관내 강경파인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을 맹비난하면서도 정상회담의 주체인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선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다. 이 역시 북미정상회담의 판 자체를 아직은 깨지 않으려는 신중한 ‘수위 조절’의 흔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