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김계관, 과거에도 리비아식 해법 거부…"지금 리비아를 보라" 발언

前 미국무부 北인권특사, RFA에 과거 김계관과의 대화 소개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은 리비아식 핵 포기 방식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서울경제DB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은 리비아식 핵 포기 방식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서울경제DB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이 과거에도 리비아식 핵 포기 방식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 적이 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로버트 킹 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를 인용해 17일 보도했다.

이날 RFA에 따르면 킹 전 특사는 2005년 방북, 북한에 리비아의 선택이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킹 전 특사는 외교위원회 국장 신분으로 톰 랜토스 하원의원과 리비아의 비핵화 선언과 그에 따른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주도한 인물이다.


이후 2011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로 다시 북한을 찾은 킹 전 특사는 김 제1부상을 만나 과거 방북한 이야기를 꺼냈고, 김 제1부상은 “기억난다. 당시 랜토스 의원이 리비아모델(리비아식 핵 포기 방식)을 따를 것을 설득했지만, 우리는 절대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언급했다. 김 제1부상은 그러면서 “지금 리비아가 어떻게 됐는지 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리비아의 국가원수였던 무아마르 카다피는 2003년 12월 핵 개발 포기를 선언하고 미국으로부터 체제보장과 경제지원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카다피의 장기집권과 철권통치에 반발해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고, 시민군에게 붙잡혀 2011년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다.

앞서 김 제1부상은 전날 발표한 담화에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한 미국 고위관리들이 ‘선(先) 핵 포기, 후(後) 보상’, ‘리비아식 핵 포기방식’, ‘핵·미사일·생화학무기 완전폐기’ 등을 밝히고 있는 데 대해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질에 있어서 대국들에게 나라를 통째로 내맡기고 붕괴된 리비아나 이라크의 운명을 우리 국가에 강요하려는 심히 불순한 기도의 발현”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한 바 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