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편을 책임질 김진경(사진) 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 위원장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공정하다고 할 수 없다”며 대입에서의 수능 영향력 축소를 시사했다. 또 정시·수시 통합에 대해서도 “죽음의 트라이앵글이 나올 수 있다”며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다.
김 위원장은 17일 교육부 담당 기자들과 가진 오찬에서 “통계로 보면 수능은 사회적으로 공정하지 않다. 불공정하다”고 강조했다. 입시 도구로서 수능이 적절하지 않다는 뜻으로 사실상 수능전형 확대에 부정적 시각을 드러낸 셈이다. 그는 “(일부 학부모들이) 수능에 관심을 갖는 것은 사교육으로 점수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라며 “돈 있는 부모들은 사교육을 밀어줘서 수능으로 대학을 보낸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대학별 대입 전형에서 수능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비율을 모든 대학에 일괄적으로 정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실효성이 없다”며 난색을 표했다. 수험생이 많이 몰리는 상위권 대학과 지방 사립대, 전문대 등이 모두 상황이 다른 만큼 통일된 비율을 정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는 “전국적으로 일률적인 비율을 권고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정시와 수시를 통합해 치르는 방안에 대해서도 “(정시와 수시를 통합하면) 수능전형과 학종, 학생부교과전형 사이의 칸막이가 허물어진다”며 “죽음의 트라이앵글이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시와 수시가 합쳐지면 학생들이 정시를 준비하든 수능과 수시를 준비하든 학종·내신을 한꺼번에 대비해야 해 더 큰 혼란이 올 수 있다는 뜻이다.
앞서 교육부는 국가교육회의에 2022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편안을 마련해달라고 부탁하면서 △수능 평가 방법(절대평가 도입) △수능·학종 비율 △수시·정시 통합 등 3개 핵심사항에 대해 답을 내달라고 요청했다. 수능에 대해서는 부정적 시각을, 나머지 두 사항에 대해서는 ‘답을 낼 수 없다’고 답한 셈이다. 대입특위 위원장이 공론화 과정도 거치기 전에 특정한 ‘방향’을 언급한 셈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논란이 일자 김 위원장은 “내 생각이라기보다 지방을 돌며 청취한 내용을 전달한 것”이라며 “특위의 공식 입장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