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지주전환 준비 끝’ 우리銀 금융위 눈치 보며 발만 동동



[앵커]

우리은행은 지난 2016년 민영화 이후 과거 지주 체제를 회복하기 위한 채비를 꾸준히 해왔습니다.


그런데 준비를 마치고 금융당국에 인가 신청을 앞둔 지금은 감자기 멈춰 섰습니다.

삼성바이로직스 문제 등 금융당국이 우선과제로 보는 현안들이 쌓이면서 관심 밖으로 밀려나는 분위기 탓입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우리은행은 과거 우리금융지주를 복원하는 것이 숙원과제입니다.

손태승 우리은행장은 지주사 전환은 필수라며 올해가 적기라고 공언해왔습니다.

국내에서 손으로 꼽히는 대형 은행이지만 홀로 지주체제를 갖추지 못해, 증권과 보험 등 금융 업종 간 장벽이 허물어지는 환경 속에서 경쟁에 밀릴 수밖에 없는 탓입니다.

금융지주가 되기 위한 요건은 갖췄습니다.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르면 1개 이상의 금융기관을 지배하며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이면 금융위원회에 인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우리은행은 우리카드와 우리종합금융, 우리에프아이에스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고 지난 1분기 말 연결 기준 자본총계는 약 20조3,000억원입니다.

또 지난해에는 과거 우리금융지주에 근무했던 인력들을 중심으로 지주사 역할에 대비한 미래전략단을 꾸렸습니다.

문제는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과 금융사 지배구조 개선 등 굵직한 이슈들이 발생하면서 우리은행의 지주사 전환이 금융위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업계에서는 절차를 고려할 때 연내 지주사 전환이 되려면 다음 달이나 늦어도 7월에는 인가신청을 해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금융권에서는 연내 지주전환 여부는 신청 시기보다 당국과 우리은행의 협의에 따라 판가름 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당국이 지주전환에 대해 OK 사인만 주면 인가 신청부터 인가까지 오래 걸릴 일이 없다는 뜻입니다.

금융위 관계자도 “우리은행이 서류만 잘 준비하면 2개월도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결국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 등 앞서 대기번호표를 받은 사안이 얼마나 빨리 처리되느냐에 따라 지주전환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훈규기자cargo29@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