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관세 싸고…美경제팀 불협화음

므누신 "관세보류" 발언 이후

라이트하이저 "부과 가능" 대치

對中무역 강경파 나바로 국장

2차 협상대표서 므누신 '아웃'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 /AFP연합뉴스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 /AF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이 지난주 2차 협상에서 일단 봉합됐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경제팀에서 대중 무역제재 여부를 놓고 상반된 메시지가 나오면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혼선이 예고되고 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두 축으로 하는 트럼프 경제팀 내 온건파와 강경파 간 불협화음의 표출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20일(현지시간) 므누신 장관은 폭스뉴스에 출연해 미중이 지난 17~18일 워싱턴DC에서 벌인 2차 무역협상에 대해 “매우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고 양국은 새로운 틀에 동의했다”며 “이 제도를 시행하는 동안 무역전쟁을 중단하고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연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국 무역협상단이 전날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관세 문제가 언급되지 않았지만 므누신 장관의 발언을 통해 관세 보류가 확인된 것이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연합뉴스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연합뉴스


하지만 므누신 장관의 인터뷰가 나간 지 수 시간 만에 협상단 내 강경파에 속하는 라이트하이저 USTR 대표가 므누신 장관의 발언과 정면 배치되는 성명을 내놓으면서 극심한 혼선이 빚어졌다. 라이트하이저 대표는 성명에서 “중국이 무역에 실질적인 구조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한 미국 행정부는 투자 제한, 수출 규제 등을 비롯한 수단에 더해 관세를 부과할 의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지적재산권 강제 탈취와 기술이전 강요 등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구태를 이어갈 경우 언제든지 관세 카드를 꺼낼 수 있다고 경고한 셈이다.


중국과의 합의가 도출되자마자 협상 담당자들이 상반된 성명을 내놓자 미국 내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전 USTR 협상가였던 C 도널드 존슨은 “워싱턴 협상가들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은 미국의 무역협상에 도움이 안 된다”고 꼬집었다. 앞서 대중 무역 강경파에 속하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정책국장 역시 이달 초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1차 무역협상에서 므누신 장관의 온건한 태도에 불만을 품고 고성과 욕설을 퍼부어 이번 2차 협상 대표단에서 제외될 위기에 놓인 바 있다. 일각에서는 므누신 장관이 합의를 끌어내기 위해 너무 앞서 가는 것이 미국의 협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고조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대중 협상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관련기사



한편 미중 양국은 2차 무역협상의 후속 협의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윌버 로스 상무장관이 조만간 중국을 방문할 것”이라며 “액화천연가스(LNG)를 포함한 에너지와 농업·제조업 등 미국의 대중 수출을 크게 확대할 많은 분야를 들여다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WSJ에 따르면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번주 워싱턴DC를 방문해 중국 통신장비 업체인 ZTE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