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이노텍 "무인 양계장 꿈이 현실로"

농진청과 스마트팜 개발 MOU

권일근(앞줄 왼쪽 두번째) LG이노텍 최고기술책임자(CTO) 전무와 양창범(〃세번째)국립축산과학원 원장이 지난 21일 전북 완주군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양계 스마트팜 기술개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후 박수를 치고 있다./사진제공=LG이노텍권일근(앞줄 왼쪽 두번째) LG이노텍 최고기술책임자(CTO) 전무와 양창범(〃세번째)국립축산과학원 원장이 지난 21일 전북 완주군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양계 스마트팜 기술개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후 박수를 치고 있다./사진제공=LG이노텍



LG이노텍이 고성능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사업의 강점을 활용해 무인 양계 관리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대표적인 정보기술(IT) 부품 업체가 전자 기기에서 농업 분야로 사업 영역 확대에 나선 것이다.


LG이노텍은 22일 농촌진흥청 산하 국립축산과학원과 양계 환경을 무인화하는 인공지능 스마트팜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양측은 권일근 LG이노텍 최고기술책임자(CTO) 전무와 양창범 국립축산과학원 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양계 스마트팜 기술개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를 맺었다.

관련기사



무인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해 가금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딥러닝 기술과 카메라 센싱 기술이 활용된다. 닭의 성장 단계별 행동 분석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이, 카메라 및 온습도 센서와 같은 계측 시스템과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은 LG이노텍이 맡는다. LG이노텍은 오는 2020년 양계 농가 현장 적용을 목표로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LG이노텍 관계자는 “이 기술이 개발되면 카메라와 각종 센서가 수만 마리 닭의 상태와 날씨 등 환경 변화를 자동 분석하고 인공지능 기술로 양계장 온도와 습도를 자동 제어할 수 있게 된다”면서 “닭의 발육상태를 분석해 출하 시점도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