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프랑스 공무원들, 마크롱 행정부 공공부문 개혁에 반발 총파업

프랑스 공무원들이 22일(현지시간) 수도 파리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공공부문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파리=AFP연합뉴스프랑스 공무원들이 22일(현지시간) 수도 파리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공공부문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파리=AFP연합뉴스



프랑스 공무원들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공무원 감축과 국철 개편 등에 반발해 22일(현지시간) 하루 총파업에 나섰다. 마크롱 대통령이 취임한 뒤 세 번째 공무원 총파업이다.

프랑스 언론에 따르면 이날 프랑스 전역에서는 130∼140개의 공무원 파업 집회가 열리고 있다. 특히 이번 파업에는 노동총동맹(CGT), 민주노동동맹(CFDT), 노동자의 힘(FO) 등 공무원들이 가입한 주요 노조 9개가 모두 파업에 동참을 호소하며 ‘단일 대오’를 형성한 것이 눈에 띈다. 이처럼 공무원 노조가 파업을 두고 단결한 것은 10여 년 만에 처음이다.


프랑스 공무원들은 마크롱 대통령의 공무원 감축과 계약직 확대 등에 반대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의 비대하고 비효율적인 공공부문을 개혁하겠다면서 2022년까지 공무원 12만 명을 감축하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현재 560만명에 이르는 공무원 조직을 ‘슬림화’해 경쟁력을 높이고, 이렇게 절감한 예산을 프랑스의 경제활력 제고에 투입한다는 구상이다. 프랑스 정부는 국가공무원의 계약직 비중 확대, 실적에 따른 차등 보상 등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공무원 노조들은 그러나 정부의 구상이 전통적으로 강력한 프랑스의 공공부문을 해체하려는 시도라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국가공무원의 종신고용 체제가 위협받지 않을까 우려한다.

마크롱 정부는 국영철도(SNCF) 노조와도 갈등을 빚고 있다. 마크롱 행정부는 부채 감축과 경영 효율성 제고를 목표로 국철 신입사원들부터 종신고용 혜택을 폐지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프랑스 철도노조들은 지난달 초부터 정부의 국철 개편에 반대해 한주에 이틀씩 총파업을 벌이고 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