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LCC 6곳 전체 1분기 영업익 130%↑…"대한항공 실적 추월"

1분기 항공업계 실적 ‘고공행진’ 속 대한항공만 성장률 둔화

23일 항공업계와 증권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LCC 6곳은 매출 1조1,760억원, 영업이익 1,861억원의 실적을 거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연합뉴스23일 항공업계와 증권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LCC 6곳은 매출 1조1,760억원, 영업이익 1,861억원의 실적을 거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연합뉴스



올해 1분기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지난해보다 2배 넘는 영업이익을 거두며 실적 ‘고공비행’을 이어갔다.

23일 항공업계와 증권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LCC 6곳은 매출 1조1,760억원, 영업이익 1,861억원의 실적을 거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34.2%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130.9% 급증하며 2배 넘게 늘었다.

국내 항공업계는 1분기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여파에 따른 중국 노선의 수요가 모두 회복되지 않았지만, 동남아·일본 등 노선 다변화 전략으로 대응하며 실적을 개선했다. 1분기 원화 강세가 지속된 것도 항공기 리스 등으로 외화부채가 많은 항공업계에는 유리하게 작용했다.


LCC 가운데 제주항공은 1분기 매출 3,086억원, 영업이익 464억원으로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5% 늘었고, 영업이익은 70.6%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15.0%를 기록했다. 진에어도 매출 2,798억원, 영업이익 531억원으로 역대 1분기 최대 실적을 냈다. 진에어는 1분기에 지난해보다 매출이 20.3% 성장하고, 영업이익은 55.8% 증가했다. 영업이익률도 19.0%로 높은 수준이었다.

관련기사



티웨이항공 역시 역대 1분기 최고 실적을 갈아치웠다. 매출은 2,038억원으로 50%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461억원으로 194%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23%를 기록했다. 이스타항공은 매출(1,587억원)과 영업이익(220억원)이 모두 지난해 1분기보다 각각 36.1%, 566.7%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에어부산도 매출(1,691원)이 33.0%, 영업이익(167억원)이 173.8% 각각 증가했다. 취항 2년을 앞둔 에어서울은 이번 1분기 560억원의 매출을 올려 337.3% 성장했다. 또 18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지난해 적자에서 흑자전환했다.

국적 FSC도 1분기 LCC의 거센 도전 속에 나름의 호실적을 기록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실적을 합한 FSC 전체 매출은 4조6,201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8.3%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2,411억원으로 14.2% 늘었다.

대한항공의 경우 매출은 3조173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7.4%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1,76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4.3% 감소해 흑자 규모가 다소 줄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직원들에게 지급한 안전장려금(534억원)이 이번 분기에 반영되면서 영업이익 규모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나항공은 매출 1조6,028억원, 영업이익 643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각각 10.0%, 144.5%씩 실적이 개선됐다. 아시아나의 1분기 매출은 창사 이후 역대 기록이고, 영업이익은 최근 3년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LCC나 FSC 모두 여객기 추가 도입, 신규 노선 개발 등 공격적인 영업을 계속하고 있어 올해 항공산업 성장이 예상된다”며 “정부도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계속 지원하고 안전 관리·감독도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