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역시 믿을 건 IT주"...실적 개선 훈풍 타고 주도주 복귀 채비

남북경협주 장세 속 큰 손들 IT관련주 발빠른 매수

"2분기에도 이익 증가 지속" 예상...저평가도 매력

SK하이닉스·삼성전기·삼성SDI·LG이노텍 등 유망




남북 경제협력 관련주가 시장을 흔드는 가운데 발 빠른 큰손들이 정보기술(IT) 관련주를 지속적으로 사들이고 있다. 분위기에 휩쓸리기 쉬운 테마주보다도 실적 전망이 가장 나은 IT에 의지하는 심리다. 증권가에서도 “결국 믿을 건 IT”라는 반응이 나온다. 다만 업종 전체보다는 이익 전망과 밸류에이션을 고려한 종목 선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코스피지수가 약세를 보인 와중에 SK하이닉스(000660)는 5.6%, 삼성SDI(006400)가 7.6%, LG이노텍(011070)이 9%의 상승률을 올리며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IT 업종에서도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는 공통점을 가진 종목들이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1.98% 떨어졌다. 미국에서도 페이스북·애플·아마존·넷플릭스·구글 등 ‘FAANG’으로 대변되는 기술주가 지난달 말부터 재차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미국 국채 금리 상승에도 FAANG이 오르면서 주도주인 기술주의 고점 논란이 완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최근 남북 경협주에 관심이 집중된 시장에서도 IT의 주도주 복귀가 점쳐진다. 앞서 지난해 증시 상승을 주도했던 IT주의 가장 큰 매력은 실적이다. 올해도 증시 전반의 실적 개선을 이끌 것이라는 믿음이 단단하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IT 업종의 확고한 이익창출능력은 1·4분기 실적에서도 확인됐다”며 “글로벌 대형 IT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에 힘입어 2·4분기에도 이익 증가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의 올해 순이익 전망치는 49조6,270억원으로 전년보다 20.03%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SK하이닉스는 39.46% 성장한 14조8,410억원이 제시되고 있다. 코스피 상장사 전체의 순이익 증가율(15.45%)을 넘어서는 수치다. 삼성전기(009150)(전년 대비 210.23%), 삼성에스디에스(018260)(21.47%) 등도 큰 폭의 순이익 증가가 기대된다.

관련기사



다만 업황과 실적 전망, 밸류에이션을 감안한 옥석 가리기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스마트폰 시장의 역성장,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 부진을 감안해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변화, 전장 확대에 따른 수혜 종목으로 투자 대상을 압축해야 한다”며 삼성전기와 LG이노텍 등을 꼽았다.

특히 삼성전기는 증권가에서 최근 가장 선호하는 IT 종목으로 꼽힌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위원도 “스마트폰 시장 자체는 중장기 성장성이 둔화되는 모습이지만 수급 불균형이 발생하면서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는 여전히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 대비 낮은 밸류에이션으로 매력이 높다. 미래에셋대우는 SK하이닉스의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2배 수준으로 미국 마이크론(1.4배) 등보다 저평가 상태인 것으로 분석했다. 삼성전자도 부담스러운 가격은 아닌데다 실적 전망 역시 밝지만 오는 6월1일 마무리될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지수의 리밸런싱에 따른 외국인 매도가 우려 요인으로 지목됐다. 다만 양호한 메모리 수급, 서버 수요 증가세 등을 근거로 여전히 삼성전자를 추천주로 제시하는 증권사들도 적지 않다. 현재 삼성전자 주가는 주당 5만원으로 지난해 최고점(5만7,520원)에 비하면 13% 낮은 상태다.

큰손들은 SK하이닉스·삼성전기·삼성SDI 등을 집중적으로 매수하고 있다. 외국인투자가들은 이달 들어 삼성전자 주식을 3,000억원 가까이 순매도한 반면 SK하이닉스(2,886억원), 삼성전기(1,613억원), LG전자(066570)(759억원), 삼성에스디에스(625억원) 등을 사들이고 있다. 기관투자가들도 7,358억원 규모의 삼성전자 주식을 순매도하고 삼성SDI(1,709억원), SK하이닉스(1,480억원) 등을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