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뉴욕증시] 북미회담 불확실성 부각에 소폭 하락

다우 0.72%·나스닥 0.21% 각각 떨어져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22일(현지시간) 미국과 북한간 정상회담 개최의 불확실성 등이 거론되면서 소폭 하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178.88포인트(0.72%) 하락한 24,834.4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8.57포인트(0.31%) 내린 2,724.4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5.58포인트(0.21%) 내린 7,378.46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미중간 2차 무역 담판 이후 후속 조치들과 내달 북미 정상회담 관련 뉴스 등을 주목했다.

뉴욕증권거래소 로고뉴욕증권거래소 로고



중국 정부는 이날 관세 항목에 따라 25% 또는 20%였던 자동차 수입 관세를 오는 7월 1일부터 15%로 내린다고 밝혔다. 포드와 GM 등 주요 자동차 업체 주가는 이에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날 중국 통신업체인 ZTE 제재 문제에 대해 합의하지 않았다고 밝히고 13억달러에 달하는 벌금 부과와 경영진 교체 등을 언급하면서 관련 업체들에 대한 투자 심리를 냉각시켰다.

관련기사



북한 관련 불확실성도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6월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이 연기될 수도 있다는 발언을 해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에 대한 기대감이 일부 사그러들었다.

다만 미 하원이 이번주 중소형 은행에 대한 규제 완화 방안을 담은 법안을 통과시킬 것이란 보도가 나오면서 금융주는 상승했다. 새 법안은 금융위기 이후 강화된 각종 규제에서 면제될 수 있는 자산 규모를 기존 500억 달러에서 2,500억 달러로 높이는 것을 뼈대로 한다.

종목별로는 백화점 체인 JC페니 주가가 마빈 엘리슨 최고경영자(CEO)가 사임하고 건축과 인테리어 자재 유통업체인 로우스 CEO로 이직한다는 소식에 6% 급락했다. 로우스 주가는 0.25% 하락했다. 또 다른 백화점 체인 콜스 주가는 전분기 실적 부진으로 7.4% 하락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북핵 문제와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 이란 및 베네수엘라 제재 등이 증시 상승에 여전히 부담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