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올해 1분기 가계빚 1,468조…주담대 규제강화에 ‘풍선효과’

가계신용 증가율 떨어졌지만 여전히 소득증가율보다 빨라

가계 빚이 1,460조원대로 늘어나 사상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연합뉴스가계 빚이 1,460조원대로 늘어나 사상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연합뉴스



미국 등 주요국의 금리 인상으로 시중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가계 빚이 1,460조원대로 늘어나 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증가율은 다소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소득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불어나 금융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고금리 기타대출은 400조원을 돌파하는 등 주택담보대출 위주 규제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도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18년 1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을 보면 올해 3월 말 가계신용은 1,468조원이었다. 이는 작년 12월 말(1,450조8,000억원)보다 17조2,000억원 늘어난 액수다. 가계신용 잔액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2년 4분기 이후 최대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친 통계다. 가계 부채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볼 수 있다.

관련기사



분기별 가계신용 증가액은 작년 2분기 28조8,000억원, 3분기 31조4,000억원, 4분기 31조6,000억원에서 올 1분기 들어 줄어들었다. 1분기 기준으로 보면 작년(16조6,000억원)보단 많지만 2016년(20조6,000억원)보다 적은 수준이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올해 1분기 8.0%로 2015년 1분기(7.4%) 이후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갔다. 그러나 정부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소득보다 훨씬 가파르게 증가하며 가계 부담을 키우는 것으로 보인다.

가계부채 증가는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모두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가계 이자 상환 부담이 늘고, 이는 민간소비 위축, 가계 부채 부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중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올해 1분기 연 3.68%로 2014년 3분기(3.82%)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달 “가계 부채 총량 수준이 높고 증가세가 둔화한다고 해도 여전히 소득증가율을 웃돌고 있다”고 지적하며 “당장 리스크는 아니더라도 중기적으로 봤을 때 금융 안정을 저해할 수 있는 잠재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대출 관리대책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올해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이 많은 점이 가계대출을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타대출 증가세가 주담대 증가세보다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고신용자 중심으로 신용대출이 늘고 있어 리스크 요인으로 보긴 어렵고 3월부터 새로운 대출규제 정책이 도입돼 있어 기타대출 증가세도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