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USB 대체 메모리 소자, 포도당으로 제작 성공

김현재 연세대 교수 연구팀

장기간 체내 삽입해도 무해

헬스케어기기 개발 활용 기대




과일에 함유된 포도당 물질로 메모리 소자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인체에 무해해 다양한 스마트 헬스케어 전자기기 개발에 도움을 주고 폐기물에 따른 환경 문제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김현재(사진)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과일 등을 통해 흔히 섭취하는 포도당 물질을 활용해 저항 스위칭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저항 스위칭 메모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USB·SSD 등의 저장매체를 대체할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의 한 종류다.

관련기사



연구팀에 따르면 최근 실시간 생체 신호를 감지해 맞춤형 헬스케어를 제공하기 위해 체내로 이식하는 전자기기가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기기의 주재료인 실리콘 또는 합성유기물이 장기적으로 인체에 유해할 수 있고 앞으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2차 수술 위험부담도 있다.

김현재 교수김현재 교수


이에 따라 연구팀은 천연재료인 포도당을 전자소자에 접목했을 때 데이터 저장 기능이 있다는 점에 착안해 이를 기반으로 몸에 친화적인 저항 스위칭 메모리를 개발했다. 이 전자소자는 유연하고 장기간 체내에 삽입돼도 인체에 무해하다. 몸속에서 자연스럽게 녹아 흡수될 수도 있다. 포도당은 자연에서 쉽게 추출할 수 있고 기존 합성고분자와 달리 복잡한 화학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폐기물의 환경 파괴 걱정도 없다.

김 교수는 “이 연구는 생체 무해성과 고성능 메모리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메모리 소자를 구현한 것”이라며 “다양한 스마트 헬스케어 전자기기에 적용돼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원천기술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교신저자 김 교수, 제1저자 박성표)는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으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5월15일자에 게재됐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