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근로시간 단축 후폭풍]남양유업 주 7 → 6일 생산 검토...빙과업계 인력 남는데도 충원할판

<비상 걸린 식음료업계>

성수기 앞두고 롯데푸드 등 생산 인력 10% 증원 결정

노조는 사측에 급여 감소 보전 요구...벌써부터 후유증

농촌 공장은 구인난..."정부, 업종별 특수성 고려해야"

# 오는 7월 근로시간 단축 시행을 앞두고 남양유업(003920)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공장 운영을 현행 주 7일 생산에서 6일로 줄이는 것이다. 남양유업 측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하는 방법은 결국 인력을 늘리거나 생산을 효율화하는 것 등 두 가지뿐”이라며 “우유는 신선식품이기 때문에 생산일수를 줄이기가 쉽지 않지만 분유나 분말커피 등의 공장은 주 1일 휴무가 가능해 대안으로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 성수기와 비성수기 구분이 뚜렷한 빙과 업계도 고민이 적지 않다. 아이스바·음료 등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판매되는 품목의 특성상 업계는 4월부터 공장 풀가동과 근로자 초과근무가 다반사다. 하지만 7월부터는 불가능하다. 이렇다 보니 롯데푸드·빙그레(005180) 등 주요 빙과 업체들은 생산인력 충원을 결정했다. 롯데푸드의 경우 생산직 인력의 약 10%를 추가 고용하기로 했다.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을 앞두고 식음료 업계에 불똥이 떨어졌다. 업계는 일단 법 준수를 위해 공장 운영일수를 조정하고 인력을 충원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거나 시행하고 있다. 문제는 그 이후부터다. 기업 입장에서는 늘어난 직원의 인건비도 부담이지만 아이스크림이나 음료처럼 성수기가 뚜렷한 업종의 경우 비수기에 인력을 유연하게 운용할 방법이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급여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일부 노조에서는 벌써부터 회사 측에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급여 감소를 보전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식음료 업계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에 앞서 공장 운영 감축이나 인력 확충 등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다. 우선 남양유업은 7월1일부터 우유 공장을 제외한 분유·커피 공장 생산직을 주 6일 체제, 교대근무로 개편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주 52시간 근무를 맞추기 위해서다. 남양유업의 지난해 실제 공장 가동시간은 1만1,681시간. 생산공장의 평균 가동률은 66.67%였다. 인력 충원에 나서는 업체들도 있다. 롯데푸드·빙그레·하림 등 주요 식품 업체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라 생산인력을 보충하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대응방안이 또 다른 후유증을 예고한다는 점이다. 특히 성수기와 비성수기가 뚜렷한 빙과 및 닭고기 업체가 문제다. 성수기야 공장이 바쁘게 돌아가지만 비수기에는 공장 가동이 크게 줄어 기존 인력도 넘치게 된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3~4개월 성수기의 근무시간 준수를 위해 직원을 더 뽑아야 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빙과 업체 A사의 한 관계자는 “주 52시간 근무가 시행되더라도 노사가 합의하에 3개월간 평균 근로시간이 주당 52시간을 넘지 않으면 문제가 없다”며 “그러나 이를 적용한다고 해도 여름 성수기가 3~4개월 정도 유지되기 때문에 이 기간에는 추가 인원을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3개월을 6개월로만 늘려도 기존 인력으로 주당 52시간제에 충분히 맞출 수 있다”며 “업종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줬으면 한다”고 정부의 규제 완화를 호소했다.

직원을 늘리고 싶다고 마냥 뽑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농촌에 공장을 둔 업체들은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식음료 업체 B사 관계자는 “우리는 공장 대부분이 인구가 적은 농촌에 있어 지금도 사람 구하기가 쉽지 않다”며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추가 인력이 상당히 많이 필요한데 이를 충원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생산직 직원들은 잔업수당 등을 포함한 소득을 고려해 일하는 분들도 많다”며 “이런 분들의 경우 근로시간이 줄어들면 수령하는 임금도 줄어 불만”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새로 뽑아야 하는 직원도 문제지만 기존에 있는 근로자들의 반발도 골칫거리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수당이 줄어 사실상 임금이 감소하게 됐기 때문이다. 줄어드는 금액을 기본급 인상으로 보전해달라는 노조의 요구가 이미 시작된 업체들도 다수다.

제과 업체 C사 관계자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임금 하락 영향이 있는 만큼 임금 인상 및 복지 강화로 기존 임금 수준을 유지해달라는 요구가 있어 협상을 벌이고 있다”며 “다른 업체들도 비슷한 상황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