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데스밸리’ 빠진 소상공인 ‘점프업’해 강소기업 육성할 것"

이윤재 중소상공인희망재단 이사장 간담회

40여개 소상공인 인큐베이팅 플랫폼으로

출자한 네이버의 영향력 없을 거라 단언도

이윤재 중소상공인희망재단 이사장이 23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이사장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심우일기자이윤재 중소상공인희망재단 이사장이 23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이사장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심우일기자



중소상공인희망재단이 업력 5년 이내의 소상공인을 ‘스케일업(Scale-Up)’하는 전략에 초점을 맞춰나갈 것이라고 앞으로의 비전을 밝혔다.

중소상공인희망재단은 23일 여의도에서 이윤재 신임 이사장의 취임에 맞춰 간담회를 열고 인큐베이팅을 통해 소상공인들의 ‘점프업’을 도와주는 기관으로서 앞으로의 사업계획을 제시했다. 이 이사장은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기관 등) 예비창업자를 돕는 곳은 많아 우리가 굳이 이쪽에 나서진 않을 생각”이라며 “소상공인들은 3~5년차 지나면 경영에 굉장히 애로를 겪어, 이런 중소상공인들을 돕는 점프업, 스케일업에 초점을 둬 (다른 기관과) 차별화를 시도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이 이사장이 ‘스케일업’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2차 ‘데스 밸리’에 빠진 3~5년차 소상공인이 많다는 문제의식 때문이다. 데스밸리란 창업 초기 기업들이 사업화 성공 후에도 자금난 등으로 폐업하게 되는 기간을 뜻한다. 그는 “연구를 하다 보니 실제 창업한 소상공인이 제일 어려운 게 3~5년차였다”며 “점프업이 가능한 3~5년차 소상공인들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일자리도 창출하고 사업자들도 보람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중소상공인희망재단은 서울 구로구에 있는 미성빌딩을 매입해 3~5년차 소상공인의 역량 확대를 돕는 지원시설인 ‘점프업 허브(Jump-Up HUB)’를 마련할 계획이다. 중소상공인희망재단은 입주할 성장성 있는 소상공인 40~50곳을 선발한 후, 마케팅·네트워킹·경영컨설팅 등을 지원해 이들의 규모를 키워나가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전략이다. 다만 중소상공인희망재단은 직접적인 현금 지원보단 신용보증기금 등의 금융기관을 연결해 간접적으로 유동성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이 이사장은 “네이버가 출연했지만 (의사결정에 개입하진)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중소상공인희망재단의 주요 ‘주주’인 네이버가 의사결정에 개입할 가능성은 일축했다. 중소상공인희망재단은 네이버와 중소기업중앙회가 같이 출범시킨 소상공인 지원 단체다. /심우일기자 vita@sedaily.com

이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