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脫석탄 논란 당진에코, 결국 태양광발전소로

화전 부지에 9.8㎿ 태양광 발전소

기존 설비 계획은 2GW로 늘려

음성·울산에 LNG발전소 건립

"내년 석탄발전서 배출량 43%↓"

백 장관 미세먼지 저감대책 발표

23일 백운규(왼쪽 세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충청남도 동서발전 당진화력발전소를 방문해 미세먼지 감축 방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당진=연합뉴스23일 백운규(왼쪽 세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충청남도 동서발전 당진화력발전소를 방문해 미세먼지 감축 방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당진=연합뉴스






탈(脫)석탄 논란의 중심에 섰던 충남 당진에코파워 석탄화력발전소 부지에 결국 9.8㎿ 규모 태양광 발전소가 들어서게 된다.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기존 발전소 계획이 취소되고 해당 부지에 신재생 에너지 설비가 들어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존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1.1GW 규모 설비 계획은 2GW로 늘려 충북 음성과 울산에 각각 1GW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짓기로 결론을 내렸다.

23일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충남 당진화력발전소를 방문해 미세먼지 대책을 논의한 뒤 기자들과 만나 “충남 지역에 석탄발전소가 30기나 몰려 있는데 이곳에 (석탄발전소를 또) 지으면 수도권도 당장 영향을 받는다”며 “당진에코 발전은 울산하고 음성으로 한 기씩 가기로 했고, 해당 부지에는 태양광 발전소를 지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설비계획을 24일 전기위원회를 열어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당초 동서발전과 SK가스는 당진에코파워를 통해 당진에 580㎿급 석탄화력발전소 2기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했었다. 이 사업은 2010년 12월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뒤 이듬해 7월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했고, 2017년 4월엔 전원개발사업추진위원회 심의 가결까지 받았다. 올해 실시계획 인가를 앞둔 사업을 멈춰 세운 것은 문재인 정부의 탈석탄 정책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뒤 미세먼지 대책의 일환으로 신규 석탄발전소 9기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탈석탄 정책에 대한 논란이 일면서 백지화 대상 석탄발전소는 포스코에너지의 삼척포스파워1·2호기와 당진에코파워1·2호기 등 4기로 줄었다. 이후 지난해 12월 발표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삼척엔 기존 계획대로 석탄발전소가, 당진에코파워는 LNG로 전환한 뒤 970MW급 2기를 이전·건설하는 것으로 결정된 것이다.

관련기사



당초 석탄발전소 건설 예정이었던 충남 당진시 석문면 일대 30만5,000㎡ 부지엔 9.8㎿의 태양광 발전소가 들어선다. 이와 관련해 당진시는 이미 인근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고 당진에코파워와 신재생에너지 사업 협약을 맺은 바 있다.

백 장관은 또 이날 현장 방문을 통해 석탄발전 부문에서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산업부는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되면 시·도지사가 석탄발전을 제한할 수 있는 상한제약 제도를 하반기부터 시범 도입할 계획이다. 전체 68기 석탄 및 유류발전소 중 42기에 대해 출력을 80%로 제한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또 황산화물을 줄이기 위해 저(低)유황탄으로 연료도 전환할 계획이다. 내년까지 30기 석탄발전소의 환경 설비도 개선한다.

백 장관은 “보완대책이 차질없이 시행될 경우 내년 봄철 석탄발전 미세먼지 하루 배출량은 작년 대비 최대 43%까지 감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 최근 2분기 연속된 한국전력의 적자와 관련해서 백 장관은 “안전문제 점검으로 처음 11기였던 가동중지 원전이 지금 8개로 주는 등 전력계통에 차례로 들어오기 때문에 한전 수익성은 점차 좋아질 것”이라면서도 “한전의 수익보다는 국민 건강이 중요하고, 공기업도 이익을 우선으로 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