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중소기업계 "근로시간 단축땐 평균 6.1명 인력 부족"

"가동률 저하로 생산차질" 애로사항 중 가장 많아

"인력충원" 25%에 불과…20%는 "생산량 축소 감수"

중소기업중앙회가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 관련 의견조사를 한 결과 중소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 이후 평균 6.1명의 인력이 부족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은 중소기업중앙회 전경./서울경제DB중소기업중앙회가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 관련 의견조사를 한 결과 중소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 이후 평균 6.1명의 인력이 부족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은 중소기업중앙회 전경./서울경제DB



중소기업들이 근로시간 단축을 시행하면 평균 6.1명의 인력이 부족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4일까지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 관련 중소기업 의견조사’를 한 결과 중소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 이후 평균 6.1명의 인력이 부족해질 것으로 전망했다고 24일 밝혔다.

중소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 시 애로사항으로 ‘가동률 저하로 생산 차질과 납기 준수 곤란’(31.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인력 부족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종은 기술과 기능직(61.3%)으로 지금과 비교해 생산 차질이 20.3%가량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247만1,000원에서 220만원으로 27만1,000원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처 방안으로 응답자의 25.3%는 ‘근로시간 단축분만큼 신규인력 충원’을 고려한다고 응답했으나 20.9%는 별다른 대책이 없어 생산량 축소를 감수하겠다고 답했다. 그 뒤로는 공정 자동화 등 생산설비 투자(16.9%), 기존 근로자 생산성 향상 도모(13.8%), 용역·아웃소싱 등 사업 외주화(10.2%), 기업분할을 통한 적용 시기 추가 유예(8.4%) 등 순서로 응답했다.

관련기사



탄력적 근로 시간제 활용률을 높이는 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최대 1년 단위로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48.2%로 가장 높았다. 현재 이들 중소기업 중 탄력적 근로 시간제를 적용해 운영 중인 기업은 6.0%다. 이 기업들은 정부에 근로자 임금감소분 인건비 지원, 인력 부족이 심각한 업종에 대한 특별공급대책, 탄력적 근로 시간제 단위 기간 확대 등의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이재원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은 “중소기업은 인력난을 겪는 데다 신규 충원도 쉽지 않아 장시간 근로가 불가피한 구조적 어려움이 있다”며 탄력적 근로 시간제의 단위 기간 확대 등 근로시간 제도를 유연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