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대화 끈 남겨둔 북미] 靑, 북·미 정상과 핫라인 가동…미·북 고위급 접촉 가능성도

[꼬인 남북미 관계 어떻게]

외신 "폼페이오-김영철 회동" 관측

정의용 실장 대북특사 파견할 수도

기적처럼 마련됐던 ‘6·12 북미 정상회담’ 개최 여부가 불투명 해지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안보 정세는 다시 한치 앞을 예단하기 어려운 안갯속으로 빠져들었다. 극적 중재, 교착 지속, 긴장 고조의 세 가지 시나리오 중 어느 쪽으로 정세가 기울지 불확실하다.


정세 흐름의 첫 갈림길은 이번 주다. 우선 조 헤이건 백악관 부비서실장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그림자 수행해온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이 6·12회담 ‘일단’ 취소 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주말 실무접촉을 가질 수 있다는 관측이 일부 외신 등을 통해 제기되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과 고위급 접촉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외교가와 일부 외신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오늘(25일) 북측이 김계관 북한 외무상이 위임 받아 발표한 담화를 보면 (이번주 말 북미 접촉을 통해) 어느 정도 (긍정적인) 분위기 전환의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기대할 수 있겠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여기에 더해 이르면 이번 주말이나 늦어도 다음주 중 문재인 대통령의 정상 간 중재 외교 노력에 재시동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25일 오후 3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북미정상간 직접 소통을 위해 필요한 노력을 계속하기로 했다. 따라서 문 대통령이 직접 남북 및 한미 정상 간 핫라인을 조만간 가동하거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을 대통령 특사로 북미회담 당사국에 보낼 가능성도 점쳐진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5일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남북정상간 핫라인 연결에 대해 “때가 되면 할 것”이라고 여운을 남겼다. 북미정상회담에 대해선 “실낱 같은 희망이 있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당분간 북미 간 대화가 단절되는 교착상태가 불가피하다는 시각도 있다. 또 다른 외교소식통은 “북미 모두 정상회담 추진 의지를 천명했지만 세부적인 의제와 합의 이행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입장 차가 좁혀진 것 같지 않아 당장 해빙 국면으로 다시 진입할 거라고 보기는 이르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제재 및 압박 수위를 더욱 높이고 북한이 여기에 강하게 반발해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의 군사 도발을 재개하면 미국이 다시 군사 옵션을 거론하는 긴장고조의 악순환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