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흔들림 없는 사업구조 갖추자"…'中굴삭기' 고삐 죄는 박지원

두산인프라코어 현지법인 찾아

'최적 비즈니스 모델' 발굴 당부

박지원(가운데) 두산그룹 부회장이 지난 25일 중국 산둥성 옌타이시에 위치한 두산인프라코어 중국법인(DICC)을 방문해 생산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제공=두산인프라코어박지원(가운데) 두산그룹 부회장이 지난 25일 중국 산둥성 옌타이시에 위치한 두산인프라코어 중국법인(DICC)을 방문해 생산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제공=두산인프라코어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이 두산인프라코어 중국법인(DICC)을 방문해 “시장 변동성에도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사업구조를 갖추자”고 당부했다. 현재 호황에 따른 실적 개선에 만족하지 말고 바짝 고삐를 당겨 최적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자는 것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박 부회장이 지난 25일 손동연 두산인프라코어 사장을 포함한 경영진과 함께 중국 산둥성 옌타이시에 위치한 DICC를 찾아 사업현황을 점검했다고 27일 밝혔다. 박 부회장은 올해도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되는 중국 굴삭기시장을 두고 “호황기에 최대한 매출을 높일 수 있도록 생산능력 확보, 부품 수급에 만전을 기하라”고 임직원을 격려했다.


회사에 따르면 올해 중국 굴삭기시장 수요는 지난해보다 약 15~30% 늘어난 15만~17만대로 예상된다. 앞서 두산인프라코어는 1·4분기 중국에서 굴삭기 5,016대를 팔았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57% 늘어난 규모다. DICC 매출도 4,251억원으로 92.9% 증가했다.

관련기사



DICC의 한 관계자는 최근 호실적의 배경으로 △적절한 시장 대응을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 △중대형 판매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 △유연한 생산 대응 및 품질 지표 개선 등을 꼽았다.

박 부회장은 실적이 좋을 때일수록 각오를 다져 경쟁력 제고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수익 확대를 통해 시장 변동성에도 흔들림 없는 사업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며 “부품 및 서비스 판매를 늘리는 등 AM(After Market) 비즈니스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