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김정은이 "정상회담 하루 뒤 보도하자" 직접 요청한 이유는

주민들에게 "남북관계 개선" 대대적 홍보 의도

북한 노동신문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또다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했다고 27일 사진과 함께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사진은 두 정상이 작별에 앞서 포옹하는 모습./연합뉴스북한 노동신문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또다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했다고 27일 사진과 함께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사진은 두 정상이 작별에 앞서 포옹하는 모습./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6일 개최한 제2차 남북정상회담의 내용을 하루 뒤인 27일 발표하자고 문재인 대통령에 직접 요청한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전날 정상회담 결과를 직접 발표하면서 “어제 논의한 내용을 왜 어제 바로 발표하지 않고 오늘 발표하게 됐냐면 김정은 위원장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지연 발표’의 이유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북측은 북측의 형편 때문에 논의된 내용을 오늘 보도할 수 있다고 했다. 우리도 오늘 발표해줬으면 좋겠다는 요청을 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설명한 ‘북측의 형편’이란 북한 매체의 보도 방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매체들은 통상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과 관련한 보도를 발생 시점 하루 뒤에 보도한다. 중요한 사안이 발생했을 경우 인터넷과 방송 등을 통해 즉각 보도하는 우리 언론과는 다르다.

관련기사



특히 북한측은 문 대통령에게 발표 연기를 요청하면서까지 5·26 남북정상회담 소식을 대내용 매체를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에게 남북관계 개선과 북미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김 위원장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위해서다. 북한은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2차 남북정상회담 다음날인 이날 오전 6시 대내용 라디오인 조선중앙방송을 통해 정상회담이 열린 소식을 처음으로 보도했다. 오전 6시 8분에는 조선중앙통신 기사를 송고했다.

결과적으로 북한 매체의 2차 남북정상회담 합의 내용 보도는 문 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 결과 발표보다 4시간이나 빨랐다. 무엇보다 북한은 대내용 매체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는 노동신문(노동당 기관지)에 5·26 남북정상회담 내용을 게재하기 위해 우리 측에 발표를 하루 연기해달라고 요청했을 가능성이 크다.

노동신문은 이날 1면과 2면에 걸쳐 남북정상회담이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소식을 관련 사진 18장과 함께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조선중앙TV도 오전 9시 12분부터 이번 남북정상회담 과정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특히 북한 TV는 남북정상회담 영상의 배경음악으로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사용하며 남북간 화해 분위기를 띄웠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