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 아동·청소년 4명 중 1명, 휴식·자유시간 전혀 없어”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전국 10~18세 6,500여명 설문조사

권장기준대로 사는 아동은 1% 이하

서울 대치동 학원가 /연합뉴스서울 대치동 학원가 /연합뉴스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약 4명 중 1명은 자유시간이나 휴식 시간이 전혀 없이 자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아동 발달과 인권을 위한 권장기준대로 사는 아동은 100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은 지난해 11∼12월 전국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만 10∼18세) 6,4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아동행복생활지수’ 연구 결과를 28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아동·청소년이 하루 동안 특정 활동을 위해 각각 어느 정도의 시간을 보냈는지 직접 작성하는 자기기입보고(Self-reporting)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에서 재단이 설정한 권장 수면·공부 시간은 각각 초등 고학년 9∼12시간·30∼120분, 중학생 8∼10시간·60∼150분, 고등학생 8∼10시간·90∼180분이다. 권장 운동시간과 미디어 사용시간은 각 조사대상 모두 1시간 이상·2시간 이하로 같다.

그 결과 수면·공부·운동·미디어 4가지 영역 모두의 권장기준에 부합하는 생활을 하는 아동은 100명 중 1명(0.9%)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국내 아동 10명 중 2∼3명(24.7%)은 4가지 영역 가운데 어느 하나의 기준에도 부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전체 아동 중 46.4%(2,902명)는 권장시간을 넘겨 지나치게 많이 공부했고, 40.4%(2,596명)는 잠을 덜 잤다. 또한 74.2%(4,664명)는 운동부족에 시달리고, 62.2%(3,875명)는 더 오랜 시간 미디어를 사용했다. 특히 하루 중에 자유롭게 휴식하거나 노는 시간이 전혀 없는 아동도 24.2%(1,535명)에 달했다.

관련기사



조사에서 집계된 우리나라 학생의 연간 학습시간은 중학생 2,097시간, 고등학생 2,757시간이었다. 이는 국내 성인 1인당 연평균 노동시간인 2,069시간(2016년 OECD 통계자료 기준)보다도 더 길었다. 평일을 기준으로 했을 때 빈곤가구 아동의 경우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학습시간은 더 적었고(156분 < 207분), 수면(421분 > 410분)과 미디어 사용(206분 > 178분) 시간은 더 많아 빈곤 여부에 따라 시간 사용 방식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가지 영역에서 권장기준을 충족하는 아동일수록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을 느끼고 지역사회를 긍정적으로 인식했으며 학업 성취도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하루에 1분 이상 휴식 또는 놀이 시간을 가지는 학생 75.8%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행복감이 더 높았다. 또 학습시간 증가로 인한 수면, 운동 등 휴식 시간 감소는 아동들의 행복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이제훈 재단 회장은 “최근 우리 사회에서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하는 것처럼 아이들 역시 학업과 휴식 시간이 적절한 조화를 이룰 때 더욱 행복감을 느낀다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