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 스마트폰 '적외선 렌즈' 끼우고

서울정광·성대 손잡고 국산화

대량생산 길 터...수입대체 기대

경기도는 도가 지원해주고 있는 한 연구기관이 차세대 스마트폰 기술 가운데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적외선 렌즈(IR Lens)’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적외선 렌즈’는 성균관대 융복합 센서 소재 공정 플랫폼 센터와 ㈜서울정광이 함께 일궈낸 것이다. 이 센터는 경기도 산학 협력 지원 사업인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가운데 한 곳이다.


적외선 센서 부품 중 하나인 적외선 렌즈는 생산 공정 특성상 한 개씩밖에 생산을 못 해 가격이 비싸다. 이런 이유로 기존 적외선 센서는 렌즈 대신 원거리에서 사람 및 사물의 온도와 움직임을 측정하는 모션센서를 주로 사용했지만, 렌즈보다 감지범위가 좁고 사이즈가 커 주로 건물이나 대형 제품에만 사용하고 모바일 기기 등 소형제품 장착에는 제한이 많았다.

관련기사



성균관대 융복합 센서 소재 공정 플랫폼 센터는 적외선 렌즈 생산과정에 반도체 공정을 도입, 대량생산 문제를 해결했다. 이 때문에 렌즈단가도 기존 대비 4분의 1로 낮출 수 있게 됐다. 이번에 개발된 적외선 렌즈는 현재 스마트폰 탑재를 위한 성능시험이 진행 중에 있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연구팀은 또 헬스케어, 공장자동화, 조명제어, 자동차 등 적용분야가 넓을뿐더러 이번 개발로 수입대체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도는 센서 개발을 위한 산학 협력모델로 성균관대 ‘융복합 센서 소재 공정 플랫폼 센터’에 5억1,000만원을 지원했다. 김평원 경기도 과학기술과장은 “산학 협력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