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 바닷물로 충전 '등부표' 띄우고

UNIST-우리해양 원천기술 확보

해수전지 등부표 상용제품 첫선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원천기술을 확보한 해수전지 상용제품이 첫선을 보였다. UNIST와 우리해양(대표 이용재)은 28일 인천에서 열린 제19차 국제항로표지협회 콘퍼런스 산업전시회에 공동 개발한 해수전지 기반 항로표지용 등부표를 출품했다.

UNIST는 정부와 울산시의 지원을 받아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동시에 한국전력공사· 한국동서발전으로부터 총 50억원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다.


등부표는 항로의 수역, 장애물 표시를 위해 고정해 놓은 해양구조물이다. 야간에도 항로를 표기해야 하는 등부표는 현재 납축전지를 사용한다. 기존 납축전지의 경우 침수에 취약하고, 무게가 많이 나가며, 교체 수요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관련기사



이번 해수전지는 값비싼 리튬이온 대신 바닷물 속 나트륨(소듐)이온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한다. 무한한 자원인 바닷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더불어 침수에 안전하고, 전지 충전 과정에서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부표 아랫부분에 설치가 가능해 무게중심을 잡는데도 용이하다. 배터리 교체 수요가 적어지기 때문에 유지관리에도 큰 도움이 된다.

연구팀은 지난 18일 인천에서 진행된 실험을 통해 해수전지를 접목한 등부표가 바다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함을 확인했다. 연구팀을 이끄는 김영식 교수는 “해수전지는 해양 분야에서 전통적 전력공급 장치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이라고 말했다.


UNIST 연구팀은 인천에서 해수전지의 성능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UNISTUNIST 연구팀은 인천에서 해수전지의 성능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UNIST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