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도입 한 달 남은 ‘주 52시간’ 근무제…대기업들 대책 마련에 ‘분주’

도입 한 달 남은 ‘주 52시간’ 근무제…대기업들 대책 마련에 ‘분주’도입 한 달 남은 ‘주 52시간’ 근무제…대기업들 대책 마련에 ‘분주’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을 한 달 앞두고 대기업들이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 달이나 석 달 단위로 탄력적으로 근무하거나 재량 근무제 등 유연 근무가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오는 7월부터 시행되는 ‘주 최대 52시간’ 근무에 맞춰 선택적 근로제, 탄력적 근로제, 재량근로제를 도입한다.

사무직, 생산직, 연구 개발직 등 직군별로 각각의 특성에 맞는 유연 근무제를 도입하겠다는 것.

사무직의 경우 한 달 단위로 주당 평균 40시간을 일하면 된다.


또한, 직원이 출퇴근 시간과 하루 근무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관련기사



생산직의 경우 석 달 단위로 주당 평균 40시간 일하도록 했다.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6~7월에 초과 근무를 했다면 8월에 장기 휴가를 내는 방식이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를 ‘집중 근무시간’으로 지정해 반드시 근무하도록 하고, 나머지 시간은 자유롭게 출퇴근하는 유연 근무제를 운영하고 있다.

LG전자는 선택적·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했고, SK텔레콤도 2주 단위 자율근무제를 도입하는 등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비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김경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