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미성년 자녀 키우는 부부가 월 141만원 더 쓴다

1인가구 월 137만원 지출

60대 이상은 30대의 절반에 그쳐

포괄적 식비 비중 25% 넘어

자녀를 둔 부부는 둘만 지내는 부부보다 한달에 약 141만원 정도 더 소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출처=이미지투데이자녀를 둔 부부는 둘만 지내는 부부보다 한달에 약 141만원 정도 더 소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출처=이미지투데이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는 둘만 지내는 것보다 한 달에 141만원 가량 더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30일 공개한 2017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를 보면 18세 이하 미혼 자녀와 함께 사는 부부 가구는 월평균 소비지출액이 371만6,200원이다. 동거하는 자녀가 없는 부부 가구(230만1,400원)보다 141만4,800원이 많았다.


자녀가 있는 부부 가구의 소비 지출 중에서는 교통비가 15.5%(57만7,500원)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음식·숙박비(13.4%, 49만6,100원), 식품·비주류음료(12.7%, 47만1,100원), 교육비(12.6%, 47만100원) 등 순이었다.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부부는 식료품·비주류음료(16.9%, 38만9,000원)에 가장 많은 돈을 썼다. 이어 교통비(14.5%, 33만3,900원), 음식·숙박비(12.3%, 28만2,100원), 주거·수도·광열비(11.2%, 25만7,400원) 등이 뒤를 이었다.

부모 중 한명이 홀로 18세 미만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이른바 ‘한부모 가정의 월평균 소비 지출액은 219만300원으로 책정됐다.

가정 형태별 월 지출액 평균은 296만4,100원이었다. 가구원 수에 따라 분석해보면 1인 가구는 137만3,100원, 2인 가구는 222만3,200원, 3인 가구는 310만1,300원, 4인 가구는 379만7,900원, 5인 이상 가구는 419만7,600원이었다.

가구 형태에 따라 가장 지출 중 큰 항목을 보면 1인 가구는 주거·수도·광열비(18.1%), 2인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16.3%)였다. 3인 이상은 교통비가 3인 가구 15.0%, 4인 가구 15.5%, 5인 이상 14.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액에 외식비를 합한 금액을 기준으로 본 포괄적 식비는 가구원 수와 관계없이 모두 월 소비 지출액의 25%를 넘었다.


가구원 별 1인 지출액은 1인 가구 137만3,100원, 2인 가구 111만1,600원, 3인 가구 103만3,800원, 4인 가구 94만9,500원으로 가구원 수가 증가할수록 1인 평균 지출액은 감소했다. 이는 가구의 월 지출액을 가구원 수로 나눠 계산한 것이다.

관련기사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 지출액(137만3,100원) 가운데는 주거·수도·광열비가 18.1%로 가장 비중이 높고 음식·숙박비가 16.6%, 교통비가 12.9%, 식료품·비주류음료가 12.7%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의 지출액도 연령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였다. 30대 1인 가구가 월 176만8,000원으로 소비 지출액이 가장 컸다. 이들은 소비 지출액의 21.1%를 음식·숙박비에 썼다. 60대 이상 1인 가구가 쓴 돈은 월 87만3,500원으로 혼자 사는 30대의 절반 수준이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구입비용이 60대 이상 1인 가구 소비 지출액의 25.0%에 달했다.

29세 이하는 149만5,000원, 40대는 169만5,600원, 50대는 149만4,700원이었다. 가구원 수를 따지지 않고 가구주의 연령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40대 가구주를 둔 가구의 소비 지출이 316만7,6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가구주(295만7,900원), 30대 이하 가구주(250만3,200원), 60대 이상 가구주(181만1,100원) 순이었다.

30대 이하, 40대, 50대는 교통비(16.6%, 14.2%, 14.7%) 지출 비중이 가장 컸고 60대 이상은 식료품·비주류음료(20.8%) 지출 비중이 높았다.

가구주 연령이 34세 이하인 청년 가구의 월평균 소비 지출은 220만600원이었고 이 가운데 1인 가구의 지출액은 160만7,500원, 자녀가 없는 부부 가구의 지출은 314만5,100원이었다.

청년 가구의 경우 교통비(16.8%), 음식·숙박비(16.7%) 등의 지출 비중이 높았다. 가구주나 그 배우자가 65세 이상인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비 지출액은 152만3,500원으로 청년 가구의 69% 수준이었다. 이들의 지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식료품·비주류음료(23.1%)였으며 포괄적 식비의 비중은 32.8%에 달했다.

노인 가구의 식비 지출이 비중이 높은 것은 소득이 줄어든 상황에서 꼭 필요한 것 외에는 지출을 줄이는 경향에 따른 결과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