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 255만원…교통비가 36만원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발표…1인 가구 소비지출 월 137만3,000원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7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를 보면 지난해 전국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5만7,000원이었다./연합뉴스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7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를 보면 지난해 전국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5만7,000원이었다./연합뉴스



작년 한국의 가구는 한 달 평균 255만원을 소비 목적으로 쓴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비 지출 비중이 가장 컸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7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를 보면 지난해 전국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5만7,000원이었다. 지출항목별 비중은 교통(14.4%), 식료품·비주류 음료(14.1%), 음식·숙박(13.9%), 주거·수도·광열(11.1%) 순이었다. 최근 급증하는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37만3,000원, 2인 이상 가구는 302만8,000원이었다.

조사 대상 중 도시근로자가구를 따로 보면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원으로 전체 평균보다 다소 높았다. 이들의 지출 비중도 교통(15.1%)이 가장 컸고, 음식·숙박(14.7%), 식료품·비주류 음료(12.5%), 주거·수도·광열(10.4%) 순이었다.


전국 가구의 주요 소비지출 항목별 지출액을 보면 교통비 지출(36만9,000원)은 자동차구입(44.5%), 운송기구연료비(28.0%), 기타운송(8.1%) 순이었다. 교통비 지출 비중을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이 가장 낮았고, 30대 이하에서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주거·수도·광열비(28만3,000원)는 실제주거비(37.0%), 연료비(30.1%), 기타 주거서비스(17.0%)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통신비 지출(13만3,000원)은 이동통신서비스(76.6%)가 대부분이었다. 가구주 나이별로는 50대가 통신비 지출 비중이 높았고, 60대 이상이 가장 낮았다.

앞서 통계청은 지난해 2월 발표한 ‘2016년 연간 가계동향’에서 2016년 소비지출을 255만원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와는 7,000원 차이로 큰 변화가 없었지만, 통계청은 조사 방법과 표본이 달라 두 해의 소비지출 변화를 직접 비교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전 통계는 가계부만을 통해 약 8,700가구를 36개월간 조사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과거 제외했던 농어가를 추가하고 표본 규모를 1만2,000 가구(월별 1,000 가구씩 12개월 순환)로 넓혔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같은 개편으로 인해 2016년과 2017년을 기점으로 향후 자료를 과거 자료와 비교할 수 없는 ‘통계 단층’이 생겼다.

김정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모집단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가계동향조사를 개편한 것으로, 시계열과 관련해서는 우리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번 자료를 기초로 시계열 연장이 가능한지 연구·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