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통신비 13만8,000원…3만원은 단말 비용

3만원은 통신장비 비용

1인 가구 첫 포함 조사…2인 이상 가구 비교시 16.5%↑

지난해 전국 1인 이상 가구가 쓴 통신비가 월평균 13만8,000여원으로 확인됐다./연합뉴스지난해 전국 1인 이상 가구가 쓴 통신비가 월평균 13만8,000여원으로 확인됐다./연합뉴스



지난해 전국 1인 이상 가구가 쓴 통신비가 월평균 13만8,000여원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017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에서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통신비가 13만7,800원으로 전체 가계지출의 5.4%를 차지했다고 30일 밝혔다. 통신비 비중은 12개 소비항목 중 3번째로 적었다.

통신비에서 휴대전화 할부금 등 통신장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3.2%(3만1,900원)였다. 나머지 순수 통신서비스 비용은 10만5,500원(76.6%)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일반 유·무선 전화요금, 인터넷 이용료, 수리비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작년부터 가계지출 조사 기준과 방식이 바뀌면서 예년과의 비교는 힘들어졌다. 통계청은 2016년까지 가계부 기입 방식으로 약 8,700가구를 36개월간 조사했지만 작년부터는 이전에 제외했던 농어가를 추가하고 표본 규모를 1만2,000가구(월별 1,000가구씩 12개월 순환)로 넓혔다.

관련기사



또 기존에는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위한 다목적 표본에서 조사 표본을 선정했지만 작년부터는 지출 전용표본을 따로 선정해 확인하고 있다. 지출 내역만 별도로 조사하게 되면서 지출 누락 논란이 있던 고소득층의 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표 기준 역시 2016년까지는 2인 이상 가구를 기준이었지만 작년부터는 1인 이상 가구로 바꿨다. 기존 공표 방식대로 2인 이상 가구만 살펴보면 작년 월평균 통신비는 16만7,700원으로 2016년(14만4,001원)보다 16.5% 증가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통계 방식의 변화로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지난해 프리미엄폰의 출고가 상승이 전체 가계통신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장유정인턴기자 wkd1326@sedaily.com

장유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