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시 37% 노후주택...성북·강북·종로구 등에 가장 많이 분포




서울시에서 성북·강북·종로구 등 외곽지역 또는 남부 지역에 노후 주택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중 일부 지역은 도시재생 정책의 소외 지역이고 정책 자체에도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30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서울시 주택노후도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월 기준 서울시에는 총 44만9,064동의 주택이 있으며(공동주택 29.1%·단독주택 70.9%), 이 중 사용 승인일 이후 30년 이상된 노후주택은 16만7019동(37.2%)으로 나타났다. 단독주택 31만8440동 중 노후 주택은 15만991동(47.4%)으로, 이 중 성북구 장위동(67.1%), 강북구 미아동(53.6%), 강북구 수유동(51.0%), 영등포구 신길동(42.6%), 관악구 신림동(31.0%) 등이 서울에서 노후 단독주택이 가장 많이 분포한 지역이다.

관련기사



공동주택의 경우 노후 주택은 1만6,108동(12.3%)으로 분석됐다. 양천구 신월동(592동), 마포구 아현동(400동), 관악구 봉천동(385동), 은평구 응암동(355동), 관악구 신림동(314동) 등 서울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했다. 권영선 주산연 책임연구원은 “저층주거지 전반에 주택노후현상이 심화되고 있지만 현 정비정책으로는 정비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빠른 시간내 가시적 성과를 내기 어려운 현실적 제약이 있어 소규모 주택정비, 리모델링 등으로 사업형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