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2년까지 인천에 스마트 공장 1,000개가 들어설 전망이다.
스마트형 공장은 설계·개발, 제조, 유통·물류 등 모든 생산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생산성·품질·고객만족도 등을 향상시키는 지능형 공장을 말한다.
인천시는 제조업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스마트 공장의 보급을 확대하기로 하고 지난해 말 기준 200여개인 인천 지역 내 스마트 공장을 오는 2022년까지 1,000개로 5배 늘릴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현재 인천시 등록 공장 1만1,300개 가운데 스마트 공장 도입이 필요한 기계·금속 및 전기 전자업종이 7,000여개로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며 “스마트 공장을 단계적으로 구축할 경우 희망 업체 수가 1,000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시는 스마트 공장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들의 초기사업비 지원에 나선다. 현행 ‘국비 또는 시비(50%, 최대 5,000만원)+기업 50%’ 방식의 국비 매칭을 ‘국비 50%+기업 30%+인천시 20%(최대 2,000만원)’로 바꿔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새로운 매칭방식을 도입하면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초기 비용 부담이 완화돼 시스템을 조기에 정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인천시가 스마트공장 확대에 나서는 이유는 기업들이 생산성이 크게 높아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 시가 지난 2016년 인천지역 스마트 공장에 대한 지원업체 성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량은 61%, 생산 품목은 11%, 납기 준수율은 7%가 각각 증가했다. 불량률은 49%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확실한 생산성 향상 효과에도 불구하고 인천의 스마트공장 보급률은 낮은 편이다. 국내 광역자치단체별 스마트 공장 보급률은 광주시가 4.3%로 가장 높고 대구(2.7%), 울산시(2.3%), 대전시(1.5%) 순이다. 인천은 1.4%로 하위권이다.
인천 지역을 비롯해 중소기업들의 보급률이 낮은 것은 스마트공장에 대한 중소기업 경영인들의 인식이 아직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천 TP가 지난 2016년 인천지역 제조업 2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인천산업 집적지 협업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81.5%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대해 모르고 있으며, 81.7%는 도입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지난 2016년 중소기업중앙회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 인식 및 대응조사에서도 중소기업 전문 경영인(CEO) 11.4%만 산업혁명의 내용을 알고 있을 뿐, 전혀 모른다는 반응도 52.3%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