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에스원, 6·25 전사자 유해발굴 안내문 달고 달린다

호국보훈의 달 맞아 국유단과 함께 6.25 전사자 유해 찾기 나서

국유단 단원들이 6·25 격전지인 강원도 화천을 찾아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고 있다. /사진제공=에스원국유단 단원들이 6·25 격전지인 강원도 화천을 찾아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고 있다. /사진제공=에스원


종합 안심솔루션 기업 에스원(012750)이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6·25 전쟁 전사자 유가족 시료 채취를 위한 홍보 활동에 적극 나선다. 이와 관련, 지난해 에스원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과 전사자 유가족 시료채취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홍보 활동을 진행했다.

국유단은 지난 2007년 국방부 직할기관으로 창설된 후 6·25 전사자 유해를 발굴해 조국과 가족의 품으로 모시는 호국보훈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군전사자 약 9,800여 위의 유해를 발굴했지만 이 중 신원이 확인된 분은 128명에 불과하다.


신원확인이 어려운 이유는 유해발굴 뿐만 아니라 유가족 DNA 시료 확보가 힘들기 때문이다. 발굴된 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확인하려면 유해 DNA와 맞춰볼 수 있는 DNA 시료 데이터베이스가 충분해야 하지만, 전쟁을 경험한 세대가 80세 이상의 고령인데다 직계 유가족도 많지 않아 시료 채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련기사



에스원 출동요원이 출동차량에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사진제공=에스원에스원 출동요원이 출동차량에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사진제공=에스원


에스원은 전국 단위의 출동 인프라를 활용해 유가족 시료채취를 알리는 활동을 진행했다. 에스원은 국내 보안업계 1위 기업으로 무인경비 서비스를 이용 중인 고객만 전국 80여만명에 이른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드나드는 관공서, 금융기관 뿐만 아니라 노인복지회관, 참전 유공자회 등의 고객도 있어 국유단에 대해 알릴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져 있는 셈이다. 실제로 지난해 에스원이 홍보에 나선 6~7월 두 달 동안 지난해 전체 채취건수 중 32%가 집중되는 등 홍보 효과가 상당했던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에스원 임직원 가족 중에서도 다수 DNA 채취에 참여했다.

에스원 출동요원이 출동차량에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사진제공=에스원에스원 출동요원이 출동차량에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사진제공=에스원


에스원은 6월부터 고객을 대상으로 ‘대한민국 영웅, 명예 찾기’ 안내문을 배포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고객에게 발송되는 이메일 등을 활용해 국유단의 활동을 소개하는 등 유해발굴사업 활성화에 적극 나선다. 또 전국 지사의 출동차량에도 안내 홍보물을 부착해 더 많은 유가족들이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이학기 국유단장은 “지난해 에스원의 활동 덕분에 많은 국민들이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에 참여하게 됐다”며 “에스원 고객과 함께 더 많은 국민이 유해발굴사업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에스원 SE(Security Engineering)사업부 임석우 부사장은 “이번 국유단 홍보 뿐만 아니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호국용사들을 기릴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