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4월 산업생산 3개월만에 반등...소비·설비투자는 동반 하락




지난달 전산업 생산이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 1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하지만 설비투자는 2개월 연속 감소했고 소비도 4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현재와 앞으로의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6개월 만에 동반 하락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은 전달보다 1.5% 증가했다. 2016년 11월(1.6%) 이후 1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올해 1월 1.0% 증가한 뒤 2~3월 연속 감소했던 전산업생산은 이로써 지난달 3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산업생산 증가세를 이끈 것은 반도체와 자동차를 필두로 한 광공업이다. 3월 2.2% 감소했던 광공업 생산은 지난달 전월 대비 3.4% 증가했다. 반도체는 전달보다 9.9% 뛰었고 그동안 수출부진에 고전했던 자동차도 6.7% 늘었다. 반도체·자동차를 제외한 광공업 생산도 1.9% 증가해 호조를 보였다. 다만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과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광공업 생산이 반등하면서 제조업평균가동률도 올랐다. 지난 3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9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던 제조업가동률은 지난달 2.2%포인트 오른 72.5%였다.

관련기사



건설업도 모처럼 웃었다.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주는 건설기성은 전달보다 4.4% 늘어 3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했다. 토목(-5.6%)은 줄었으나 건축(8.1%) 공사 실적이 늘어난 결과다.

나머지 지표는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 3월까지 3개월 연속 증가했던 소비는 전달보다 1.0% 감소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설비투자도 기계류투자는 회복됐지만 항공기 등 운송장비 투자가 크게 줄면서 전달보다 3.3% 감소했다. 2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1포인트 하락한 99.7이었다. 이는 2016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4포인트 떨어져 100.0을 기록했다. 두 가지 지표가 동반 하락한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6개월 만이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경기종합지수의 구성지표를 보면 플러스와 마이너스 요인이 혼재해 있다”며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5월에 수출과 심리지수가 오르는 등 긍정적인 요인도 많아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세종=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