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6월 기업전망 '부정적'…유가 상승 영향




회복세를 보였던 기업들의 경기전망이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다시 부정적인 수준으로 후퇴했다.

31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에서 6월 전망치는 95.2를 기록하며 기준선인 100에 못 미쳤다. BSI 전망치가 100을 웃돌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내다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을 밑돌면 그 반대다.

BSI 전망치는 4월(96.3)에 100을 밑돌았다가 5월에 100.3을 기록하며 기준선 이상을 회복했다. 하지만 불과 한 달 만에 다시 100 아래로 떨어졌다.


구체적으로 내수(100.5)와 수출(100.8)을 제외하고 투자(98.0), 자금사정(97.5), 재고(102.5·100 이상일 때 부정적), 고용(99.0), 채산성(95.2) 등 대부분의 부문에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한경연은 “기업들이 수출과 내수 등 수요 측면의 요인보다 국제유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를 경기전망 악화의 주 요인으로 꼽았다”고 밝혔다. 최근 국제유가는 배럴당 70.7∼78.8달러로, 2016년 초(배럴당 22.8∼27.9달러)와 비교해 3배가량 상승했다. 잇따른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도 자금전망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달 BSI 실적치는 95.5로 37개월 연속 기준선(100)을 밑돌았다. 5월 BSI 전망치(100.3)와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실제 실적이 기업들의 기대한 정도에 미치지 못한 것이다. 부문별로 보면 내수(99.0), 수출(98.0), 투자(96.0), 자금(96.0), 재고(103.0), 고용(95.7), 채산성(97.0) 등 모든 부문이 기준치에 미달했다.

송원근 한경연 부원장은 “올해 들어 전망치는 등락을 거듭한 반면 실적은 계속 100선을 하회하며 부진한 상황”이라며 “최근 경기회복 국면에 대한 논란이 심화하는 등 향후 경기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기업경쟁력을 높이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