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버스타면 요금 자동 결제·빈 주차장 정보도 척척...지자체들 스마트시티 열기 뜨겁네

부산시, 에코델타시티 이어 추진

김해시는 안심귀가 서비스 등 제안

정부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공모'

서면평가 거쳐 내달 최종심사

인천 송도국제도시 스마트시티 운영센터에서 직원들이 모니터를 통해 치안과 교통 흐름 등을 확인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에 선정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들의 경쟁이 뜨겁다. /사진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인천 송도국제도시 스마트시티 운영센터에서 직원들이 모니터를 통해 치안과 교통 흐름 등을 확인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에 선정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들의 경쟁이 뜨겁다. /사진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연구개발 사업 공모


불이 나면 실내에 설치된 IoT(사물인터넷) 센서를 통해 발생 위치 등을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최적의 대피로를 바닥에 표출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돕는다. 스마트폰을 가지고 버스나 도시철도를 타면 요금이 자동으로 결재되고 주차 가능한 주차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차량 분산 효과를 낸다. 신호등에서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통해 지·정체 구간을 피할 수 있어 차량 운행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이 같은 스마트도시를 구축하려는 지방자치단체들의 열기가 뜨겁다. 교통·안전·행정·환경·에너지·복지 등 도시가 가진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데다 스마트기술의 발달로 연관 산업을 육성해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어서다. 최근 정부의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연구개발 사업 공모’에 뛰어든 지자체들이 이를 방증한다. 이 사업은 지속 가능한 성장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혁신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대규모 실증 연구개발 사업이다.


3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부산시는 교통·안전·도시행정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서를 냈다. 제안서에는 주차공간 공유기반 이용률 극대화, 사고·범죄 발생 시 긴급 구난 대응 체계, 도시공간 시설물 통합 관리 등의 내용이 담겼다. 부산시는 지난 1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에코델타시티가 선정된 데 이어 이번 공모에 또다시 뽑히면 부산이 미래형 스마트시티로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금까지 실증했던 각종 스마트 서비스의 확산 계획을 수립하는 등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 나주시도 막바지 점검을 마치고 공모 도전에 나섰다. 나주시는 환경·에너지·복지 등 새로운 산업을 스마트시티에 적용하는 제안을 했다. 이번에 실증도시로 선정될 경우 ‘대한민국 에너지수도 나주’ 비전 실현과 지역 경제 혁신성장을 위한 거점도시로 도약하는 교두보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남 김해시는 홀몸노인 스마트 케어, 안심귀가 서비스 고도화, 스마트 버스정류장, 스마트 박물관 등을 제안서에 담았다. 스마트 쓰레기통·가로등, 인공지능 기반 24시간 민원상담 등이 눈에 띈다.

관련기사



대구시 역시 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교통·안전·행정 등 도시 문제를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해결하는 내용을 제출했다. 대구 수성구는 수성의료지구를 중심으로 환경·에너지·복지 등과 관련된 스마트시티 조성 계획안을 마련해 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연수구를 지원기관으로 하는 미래도시에 대한 비전 제시와 스마트시티 발전모델을 제안했고 경기 수원시와 강원도 원주시도 태스크포스팀을 발족하거나 스마트시티 계획수립 완료보고회 등을 거쳐 공모에 참여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 구심점인 만큼 이번 공모에 20~30곳 정도가 제안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공모에 선정되면 앞으로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통해 도시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삶의 질 향상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14일부터 서면평가와 현장평가를 하고 다음달 초 최종 심사를 마무리한 뒤 도시문제 해결형과 비즈니스 창출형 각 지자체 1곳씩을 실증도시로 선정할 예정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전국종합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