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보건복지부는 지난 4월 복지부 산하 국립부곡공원에 의뢰해 항공교통본부 소속 관제사 117명의 정신상담을 진행했다.
4일 국토부는 해당 정신상담 결과를 발표했는데 관제사 117명 중 20% 가량이 우울증 등 정신건강 고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검진은 설문조사를 통해 우울·스트레스·불면 정도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울의 경우 그 정도를 측정하는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평가에서 24명(20.5%)이 경도 이상의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경도는 11명(9.4%), 중증도 이상의 우울은 13명(11.1%)이었다.
스트레스 자각 척도(PSS:Perceived stress scale) 평가에서는 ‘정상’은 30명(25.6%)에 그쳤다.
경도 스트레스는 25명(21.3%), 중등도 스트레스는 21명(17.9%), 중증 스트레스는 41명(35.0%)으로 조사됐다.
검진자 절반 이상이 경도를 넘어서는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다.
불면증 정도를 측정하는 아테네 수면 척도(AIS:Athens Insomnia Scale) 평가에서는 41명이 참가했는데 24명(58.5%)이 수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됐다.
병원 측은 이런 결과를 토대로 관제사 117명 중 22명(18.8%)이 스트레스와 우울로 ‘정신건강 고위험군’에 속한다고 최종 진단을 내렸다.
특히 이들 중 2명은 주기적으로 자살 충동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측은 고위험군 대상자는 물론 전 직원을 대상으로 자살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병원은 6~7월 중 항공교통본부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정신과 전문의의 정신건강 증진 교육을 벌이고, 정신건강 고위험군과 희망자를 상대로 전문의의 심층상담도 진행한다.
공항 관제탑 근무자는 공항에 수시로 이착륙하는 비행기들이 얽히지 않도록 동선을 정리해야 하고, 영공을 관리하는 관제사는 시속 1천㎞ 이상 초고속으로 날아다니는 항공기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늘길을 통제해야 한다. 모든 업무가 초(秒) 단위로 이뤄지며 한순간의 실수로 엄청난 인명 피해를 가져오는 항공사고를 불러올 수 있다.
영어로 모든 업무를 이행하는 부담도 적지 않다. 주기적으로 영어 실력을 점검받기에 관제사 개인의 스트레스가 가중될 수밖에 없다.
구조적으로는 국토부 관제 기능의 본부 격인 항공교통본부가 작년 말 신설되면서 인천에서 근무하던 인력이 대거 대구로 이전했는데, 이에 따른 환경변화도 스트레스를 키운 요인으로 꼽힌다.
항공교통본부 관계자는 “마주 오는 두 항공기가 10마일 정도 떨어져 있다면 맞닥뜨리는 데 걸리는 시간은 20초밖에 되지 않는다”며 “순식간에 상황이 벌어질 수 있으니 항상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고 전했다. 또한 “관제사의 20%가 우울과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는 결과가 나와서 나도 적잖이 놀랐다”며 “관제 인력의 정신적 안정을 위해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항공교통본부는 본부 인력 117명에 대한 정밀 정신검진과 심리 상담 등의 결과를 보면서 타 지역 관제사들에 대한 상담을 확대할지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