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新수산물 유통센터 전국 10곳에 구축

해양부, 2022년까지

정부가 2022년까지 전국 수산물 산지에 거점유통센터(FPC) 10개소 건립을 추진한다. 대규모 수산물 처리를 통해 ‘규모의 경제’ 효과를 거두고 절단·소분 포장 등으로 수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다. 주요 대도시 권역에는 유통 효율화를 위한 소비지 분산물류센터(FDC) 6개소도 만든다. 이를 통해 산지 위판장에서 거점유통센터를 거쳐 소비지 물류센터, 최종 소비지까지 연계하는 ‘신(新)수산물 유통망’을 구축한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해양수산부는 5일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청사진을 담은 ‘수산물 유통혁신 로드맵’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최근 고령 가구와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간편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데 수산물 유통분야는 시설 노후화와 산업의 영세성 등으로 유통 여건이 낙후돼 있다는 판단에서다.

관련기사



우선 전국 수산물 산지 거점에 거점유통센터를 조성하고 주요 대도시 권역에는 소비지 분산물류센터를 구축한다. 거점유통센터는 수산물을 대규모로 들여와 절단·소분 포장 등의 과정을 통해 1~2인 가구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지 물류센터는 전국 산지에서 수산물을 집적하고 다양한 소비지로 분산해 수산물의 신선도 유지와 유통 효율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위판장에서 수산물의 위생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전국 수산물 거점지역 10곳에 ‘거점형 청정 위판장’도 조성한다. 전통시장에도 수산물 위생·안전관리 매뉴얼을 만들어 보급한다.

수산물의 가격안정을 위해서는 정부가 매년 수산물 가격안정 관리 대상 품목을 지정해 관리에 나선다. 올해 관리대상 품목은 오징어, 명태, 마른멸치, 고등어, 갈치, 꽁치, 참조기다. 해수부는 이번 대책으로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이 현재 59.9㎏에서 2022년까지 62㎏으로 늘고, 수산물 유통업 매출액도 28조4,000억원에서 35조원 규모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