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인공 산란장을 운영해 생태계 교란 어종인 배스 개체 수를 줄이는 데 효과를 보고 있다고 7일 밝혔다.
배스는 환경부에서 지정·고시한 생태계 교란 외래어종이다. 배스는 대형 저수지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 살며 무엇이든 섭식해 토종어류를 감소시킨다. 또한, 번식력도 좋아서 5,000개에서 7,000개의 알을 산란한다.
시는 2011년부터 태화강 삼호섬 일대에 배스 인공 산란장을 운영해 매년 40만 개의 알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개체 수를 감소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공 산란장에 배스가 알을 낳으면 알을 제거해 배스를 사전 퇴치하는 방식이다. 산란 4∼5일 뒤 부화하는 배스 습성을 고려해 일주일에 2번씩 확인해 알을 제거한다. 이 작업은 배스 산란 시기인 4월부터 6월 말까지 계속한다.
또 생태계 교란 생물인 배스와 블루길 등을 포획해오면 보상해주는 생태계 교란 생물 퇴치 수매사업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태화강에는 73종의 물고기가 살고 있다”며 “인공 산란장 설치로 배스 개체 수를 줄여 태화강에 사는 고유종의 서식 공간을 확보하고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