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대통령, 연가 내고 휴식…포스트 북미회담 등 정국구상 주목

남북미 정상회담·북미중재·판문점 선언 이행 등 고심할듯

지방선거 이후 개각·청와대 개편 등도 주요현안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 청와대에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통화하는 모습이다./출처=연합뉴스(청와대 제공)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 청와대에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통화하는 모습이다./출처=연합뉴스(청와대 제공)



7일 하루 연차를 낸 문재인 대통령의 정국 구상에 관심이 쏠린다.

청와대는 한반도 정세의 흐름에 숨 가쁘게 대응해 온 문 대통령이 잠시 쉬는 시간을 갖는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앞으로의 행보도 현재까지의 흐름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점에서 온전히 쉬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지방의 모처로 떠나 휴식을 취하다가 오후에 관저에 복귀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이 쉬는 중에도 계속해서 고민할 수 밖에 없는 현안은 다음 주로 다가온 6.12 북미정상회담이다.

회담을 닷새 남겨 두고 실무 준비가 분주히 진행 중인 가운데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체제보장’(CVIG)을 주고받는 협상이 얼마나 구체화 되느냐에 모든 시선이 쏠려 있다.

북미정상회담이 성공할 경우 남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종전선언이 추진됐으면 좋겠다고 한 문 대통령으로서는 북미 정상의 대좌 이후 자신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북미정상회담 직후 싱가포르에서 남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됐으나 청와대는 아직 ‘싱가포르 초청장’을 받은 바 없다.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아예 닫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이제는 6·12 이후 특정시점에 남북미 정상회담을 열기 위한 ‘또 다른 중재역’을 구상하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나온다.

관련기사



남북미 정상회담이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전제로 하는 만큼 북미 정상이 만나기 전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7일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기대치를 너무 낮출 필요도, 높일 필요도 없다”면서 “대통령은 어떠한 예단도 하지 않고 침착하게 북미정상회담 결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전했다.

‘비핵화 담판’과 별도로 문 대통령은 수차례 판문점 선언에 담긴 합의사항의 이행에 ‘속도전’을 강조한 바 있다. 따라서 남북관계 개선과 장기적 관점에서의 남북 경협 등도 휴식을 취하는 문 대통령이 충분히 생각할 법한 주제다.

국내 이슈와 관련해서는 엿새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 이후 정국 운영 방안을 정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청와대 안팎에서는 취임한 지 1년이 넘으면 소폭이라도 내각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으로 전해진다. 예정대로라면 민정수석실과 총무비서관실 주도로 해온 청와대 조직진단과 업무평가가 지방선거 전에 마무리된다.

지방선거 결과가 나오고 나면 출마 등으로 공석이 됐던 장·차관직과 청와대 내 비서관 등 주요 자리를 채우는 데도 주력해야 할 만큼 이 역시 정국 구상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최저임금법 개정에 따른 노동계의 반발과 주 52시간 근무에 따른 부작용 우려 등 노동현안도 문 대통령이 정리할 만한 이슈로 보인다. /홍승희인턴기자 shhs9501@sedaily.com

홍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