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라가야 왕성 유적 최초 확인 '강력한 정치권력 존재'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대가야·금관가야와 함께 가야 중심세력을 형성했고 신라·백제·왜와 교류한 아라가야(阿羅加耶) 왕성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아라가야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에 ‘아나가야’(阿那加耶), ‘아야가야’(阿耶伽耶), ‘안라’(安羅)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등장하나 자체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사료 연구 한계가 뚜렷한 상황에서 이번에 발견된 유적은 아라가야의 토목기술과 방어체계, 생활문화를 구명할 획기적 고고학 자료가 확인됐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7일 문헌과 구전을 통해 아라가야 왕궁터로 지목된 경남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289번지 일원에서 지난달 시작한 발굴조사를 시작해 5∼6세기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토성과 목책(木柵·울타리) 시설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확인된 토성 유적은 가야 권역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규모가 크고 축조기법이 정교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토성 높이는 8.5m, 상부 폭은 20∼40m다. 조사 구역에서 드러난 성 길이는 약 40m다.

축성기법은 흙으로 성벽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나무기둥을 설치하고, 차곡차곡 흙을 쌓아 올리는 판축기법을 이용했다. 성벽 상부에는 방어시설인 목책으로 짐작되는 2열 나무기둥이 왁인됐다.


강동석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동시기 가야 토성으로는 높이가 약 4m인 합천 성산토성, 양산 순지리토성과 높이 2.8m인 김해 봉황토성이 있다”며 “다른 가야 토성보다는 확실히 크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토성 안에서는 목책과 함께 건물터·수혈(竪穴·구덩이) 유구(遺構·건물의 자취)가 발견됐다.

강동석 연구관은 “바닥이 지면보다 높은 고상(高床)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건물터는 기둥 구멍 배열이 불규칙적이어서 정확한 형태와 규모를 추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유적 가운데 이목을 끄는 것은 기반암을 인위적으로 파서 만든 가로 5.2m, 세로 3.4m, 높이 0.5m 구덩이다.

구덩이 내부에는 아궁이 위에 솥을 거는 부뚜막으로 추정되는 시설이 있다. 무덤을 비롯한 의례 공간에서 출토되는 통형기대(筒形器臺·원통모양 그릇받침)와 손잡이가 달린 주발, 붉은색 연질토기도 출토됐다.

이 외에도 아라가야가 봉분을 높게 만든 무덤인 고총(高塚)을 조성하고 대외적으로 활발하게 교류한 전성기인 5세기 중반∼6세기 중반에 제작한 토기 조각들이 나왔다.

연구소는 “이번에 나온 토성은 아라가야에 대규모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는 강력한 정치권력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며 “그동안 아라가야 유적 발굴은 고분 중심으로 이뤄졌는데, 왕성 유적이 나오면서 최고지배층의 생활상을 유추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진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