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생산거점 脫한국…건설경기는 깜깜…정책 리스크에 투자 기피하는 기업

親勞·부동산 규제 등에 발목 잡혀

일자리 기근·내수 부진 심화 우려

삼성전자의 사우스캐롤라이나 가전 공장 부지 전경. 기업들의 해외 생산 거점 마련이 속도를 내면서 상대적으로 국내 투자는 부진하다. /사진제공=삼성전자삼성전자의 사우스캐롤라이나 가전 공장 부지 전경. 기업들의 해외 생산 거점 마련이 속도를 내면서 상대적으로 국내 투자는 부진하다. /사진제공=삼성전자



대기업들의 국내 투자 기피현상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보호무역주의 득세로 관세 리스크가 불거지는 상황에서 반기업 정서에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등 정책 리스크는 줄어들 기미조차 없는 탓이다. 실제 올해 기업의 설비투자는 전년 대비 4.2%(KDB산업은행 전망치) 증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디스플레이의 설비투자 비중이 30%로 쏠림현상이 심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글로벌 경기회복 국면이 무색한 지경이다.


기업들도 탈한국 경향이 뚜렷하다. 최근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나란히 미국에 가전 공장을, LG화학은 폴란드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지었다. 롯데케미칼은 인도네시아에서 나프타 크래커 공장 투자에 나서는 등 해외로 나가는 업종도 가전 등에서 배터리 등으로 다양화되는 실정이다. 재계의 한 임원은 “수출 비중이 큰 대기업들이 해외에 생산거점을 마련하는 것은 일면 당연하지만 문제는 균형을 잃은 정책들이 기업으로 하여금 아예 국내 투자를 외면하게끔 만드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대기업이 해외로 나가면 숱한 협력업체들이 따라가야 돼 일자리 기근에 따른 내수 부진은 더 심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단행되고 있는 국내 투자도 인건비를 줄이는 데 방점이 찍혀 있는 점도 답답한 요인이다. 중견기업의 한 관계자는 “요즘 기업들의 국내 투자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게 아니라 설비 자동화를 통해 비용 감소를 노린 게 대부분”이라며 “경기가 나아져 고용창출이 가능한 기업마저도 7월 근로시간 단축 시행 등으로 보수적으로 임하고 있는 상황 아니냐”고 반문했다.

건설 경기도 좀처럼 기지개를 켜지 못하고 있다. 부동산 규제와 사회간접자본(SOC) 인프라 예산 감축 영향이 크다. 박철한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난해 8·2부동산대책을 시작으로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보유세 인상 논의 등 연이은 규제 폭탄으로 건설 경기 체감지수가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며 “건설사 입장에서는 몸을 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SOC 투자가 1조원 줄어들 때마다 고용이 1만4,000명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건설 수주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나 줄었고 이에 따라 건설투자(건설기성)도 지난해 상반기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다. 올 2월과 3월에는 마이너스를 기록했을 정도다. 박 부연구위원은 “하반기에는 시중금리 상승 압력이 더욱 커지고 규제에 따른 주택거래 감소로 건설 경기 환경이 더 좋지 않을 것”이라며 “SOC 예산 감축 영향으로 토목투자도 지속적으로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위험요소를 잘 살피고 건설 경기를 살릴 정책 방향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이상훈·한동훈기자 shlee@sedaily.com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