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 E&S. 필리핀서 '1.8조 LNG인프라 구축' 도전

정부와 투자의향서 체결

유정준(왼쪽) SK E&S 사장이 5일 알폰소 쿠시(〃 두번째) 필리핀 에너지부 장관과 LOI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사진제공=SK E&S유정준(왼쪽) SK E&S 사장이 5일 알폰소 쿠시(〃 두번째) 필리핀 에너지부 장관과 LOI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사진제공=SK E&S



SK E&S가 필리핀에 대규모 액화천연가스(LNG) 인프라 구축 사업에 뛰어든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과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의 만남으로 양국 협력 관계가 탄력을 받은 가운데 글로벌 사업 확대를 고심하던 SK E&S가 기회를 잡았다는 분석이다.

SK E&S는 지난 5일 필리핀 정부와 약 1조8,000억원 규모의 필리핀 LNG 인프라 구축사업을 제안하는 내용의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SK E&S는 필리핀 북부 루손섬 일대에 연간 처리용량 최대 500만톤 규모의 LNG 터미널과 복수의 중대형(600MW 이상) LNG 발전소를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필리핀 정부에 제안했다. 터미널과 발전소를 잇는 최장 150㎞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SK E&S가 이번 사업을 제안한 건 필리핀 정부가 LNG 수요 증가에 맞춰 대규모 관련 인프라 구축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필리핀은 유일한 자국 가스전인 말람파야(Malampaya) 해상 가스전에 천연가스 공급을 전적으로 의존해왔다. 하지만 말람파야 가스전의 매장량이 2024년 이후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경제성장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LNG 수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실제 필리핀 에너지부는 경제 성장에 따라 필리핀의 전력 수요가 2040년까지 연평균 5.6%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필리핀의 LNG 수요는 가스발전을 중심으로 매년 1.7%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필리핀 정부는 2023년 말까지 LNG 인프라를 모두 갖추고 LNG 수입에 본격 나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SK E&S는 지난해 9월 필리핀 마닐라에 현지 사무소를 설립하고 필리핀 LNG 인프라 구축 사업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왔다. SK E&S 관계자는 “필리핀 LNG 인프라 건설 사업이 실현된다면 건설기간 중 하루 평균 2,200명, 연간 80만명 수준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SK E&S가 LOI를 체결한 필리핀 LNG 인프라 구축사업은 양국 간 에너지 협력 업무협약(MOU)에 포함된 3대 사업 중 하나로 추진될 예정이다. 지난 4일 문재인 대통령과 필리핀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만나 교역·투자, 인프라, 국방·방산, 농업, 개발협력, 문화·인적교류 등 분야에서의 실질협력 강화 방안을 협의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선 산업통상자원부와 필리핀 에너지부가 양국 정상이 지켜보는 가운데 에너지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