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김동연, 한-러 경제협력 극대화 위해서는 북한 참여 필요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9개 다리' 협력사업, 남·북·러 3국 함께해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7차 한-러시아 경제과학기술공동위원회’에서 회의 시작에 앞서 유리 트루트네프 러시아 부총리 겸 극동전권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출처=연합뉴스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7차 한-러시아 경제과학기술공동위원회’에서 회의 시작에 앞서 유리 트루트네프 러시아 부총리 겸 극동전권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출처=연합뉴스



한국·러시아 양국 정부가 가스와 철도 등 9개 분야의 경제협력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 정부는 러시아와의 경제협력에 북한도 참여해야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국제 사회의 합의를 토대로 남·북·러 3국의 공조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러시아 양국 정부는 7일 서울 ‘제17차 한국·러시아 경제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열고 앞서 한국이 제안한 ‘9개 다리(9-Bridges)’ 협력사업을 구체화하고 종합적인 극동 협력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기획재정부가 이날 밝혔다. 9개의 다리는 가스, 철도, 항만, 전력, 북극 항로, 조선, 산업단지, 농업, 수산업 등 9개 분야에서 한국과 러시아가 협력하는 구상으로 작년 러시아에서 개최된 동방경제포럼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각종 경제협력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사를 러시아에 전달했다. 한국 수석대표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북한이 참여해야만 비로소 한반도와 대륙의 공동 번영이 가능하다”며 “북한이 참여해야만 끊어졌던 한반도 철도가 시베리아 철도와 연결되며 러시아의 파이프 가스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고 대륙과 한반도의 전력계통이 연계돼 효율적인 전력 생산과 소비가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국제적으로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되면 우리는 남·북·러 3국 간 공동 번영을 모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회의는 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의제 조율을 겸해 열린 것으로 협력 방안은 한러정상회담에서 더욱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