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소비자 80% "치킨 먹는다면 배달료 없는 브랜드 우선 고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설문조사

65% "배달료 따로 내면서까지 배달음식 먹고싶지 않아"

8일 시장조사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15∼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65%는 “배달료를 따로 내면서까지 배달 음식을 먹고 싶지 않다”고 답변했다./출처=이미지투데이8일 시장조사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15∼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65%는 “배달료를 따로 내면서까지 배달 음식을 먹고 싶지 않다”고 답변했다./출처=이미지투데이



일부 치킨업계가 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배달료를 따로 받는 가운데 소비자 대다수는 이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갖고 있다는 반응이 조사됐다.

8일 시장조사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배달음식 이용 경험이 있는 15∼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65%는 “배달료를 따로 내면서까지 배달음식을 먹고 싶지 않다”고 답변했다. 이 같은 부정적인 인식은 성별이나 연령과 무관하게 고루 도출됐다.


응답자의 79.9%는 “어떤 이유든 배달료는 왠지 지불하기 아깝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고 생각했고, 65.2%는 “배달료는 원래 음식값에 포함돼 있어야 하는 금액”이라고까지 응답했다.

관련기사



배달료 논란이 일었던 치킨 업체와 관련해서는 이 같은 부정적인 의견이 더욱 극명하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80.9%는 아예 “앞으로 치킨을 먹는다면 배달료가 없는 치킨 브랜드를 먼저 고려할 것 같다”고 답변했고, 79.5%는 “배달료 인상은 가격을 올리기 위한 꼼수”라고 비판했다. 다만 소비자의 절반가량인 49.4%는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로 배달료 부과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데 공감한다”고 답했다.

배달 음식을 이용할 때 앱을 이용하는 경우는 3명 가운데 1명꼴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 앱 이용 비중은 지난해 24.9%에서 올해 34.7%로 9.8%p 올랐다. 반면, 전화 주문은 65.1%에서 57.1%로 8.0%p 내려갔다. 소비자들은 △검색·주문·결제까지 한 번에 가능해서 △쿠폰·마일리지·가격 할인 등 혜택이 다양해서 △사용자 리뷰가 많아서 △전단보다 이용하기 편해서 등을 배달 앱을 쓰는 이유로 답했다.
/신경희인턴기자 crencia96@sedaily.com

신경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