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대형마트 PB 1위 상품 우유...숨겨진 비밀은

하영희 롯데마트 유제품C 대표MD(팀장)하영희 롯데마트 유제품C 대표MD(팀장)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유통업체 자체 브랜드(PB·PL)은 그저 가격만 싼 B급 제품 이미지가 강했다. 하지만 품질과 가격에 따라 브랜드를 분리하고 차별화해 그간 신뢰를 쌓아올리면서 소비자의 인식도 변하고 있다. 신세계의 ‘노브랜드’는 아예 독립매장으로 개발될 만큼 PB제품에 대한 인지도나 신뢰도도 높아졌다.

그 가운데 롯데마트가 지난해부터 선보이는 생필품 PL ‘온리 프라이스’ 역시 기존 상품 대비 30% 이상 낮은 가격임에도 높은 품질로 인기를 끌고 있다. 브랜드명에서도 드러나듯 마케팅·할인 없이 항상 정가를 유지해, 무엇을 사든 ‘가성비 갑’ 제품이라는 자신감이 담겨있다.


특히 그간 출시된 200여 개 제품 중 가장 인기가 높은 것은 우유다. 1ℓ들이 2팩을 정가 3,000원에 내놓으면서, 단숨에 경쟁제품을 제치고 PB 제품군에서는 물론 우유 카테고리 1등으로 뛰어올랐다. 올 들어 판매량(320만 팩)이나 매출(48억 원) 모두 PB제품 2위와 2배 내외로 차이가 크다. 특히 PB 규모·종수가 2배 수준인 이마트의 PB 우유제품보다도 많이 팔린다.

온리프라이스 1등급 우유온리프라이스 1등급 우유


같은 유가공제품인 ‘온리프라이스 피자치즈’(8만 4,000개)은 4위다. 또 순위에는 없지만 지난 2월 출시된 ‘온리프라이스 체다슬라이스치즈’는 한 달 만에 서울우유를 제치고 카테고리 1등 제품이 됐다. 정가 기준 41.7% 저렴한 가격임에도 높은 체다치즈 함량으로 입소문이 퍼지며 특별한 마케팅 없이도 점유율 12%를 넘겼다.

이 세 제품을 잇달아 히트시킨 주인공은 하영희 롯데마트 유제품C 대표MD(팀장)이다. 최근 서울경제와 만난 자리에서 그는 과거 PB 제품에 깔린 소비자의 편견을 뛰어넘는 것이 가장 힘들었다고 말했다.


하 팀장은 “시장조사를 통해 일단 가격을 정가 대비 30% 이하로 끌어내리고 기획에 들어간다”며 “재료·유통 마진을 어떻게든 맞추면서도 품질을 끌어올리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실제 세 제품의 롯데마트 마진은 10% 미만일 정도로 박하다. 그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제품별 가격도 천차만별인 유제품을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게 시장가격을 합리적으로 조정한다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가 유제품 PL에 주목한 것은 둘째 육아휴가 때다. 영유아기 많이 먹이는 치즈 가격이 생각보다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공급 과잉이라던 우유가 실제 사러 가면 왜 이리 비싼지 의문이 생겼고, 업무에 복귀하면서 바로 유제품에 매달리기 시작했다.

온리프라이스 체다 슬라이스치즈(520G)온리프라이스 체다 슬라이스치즈(520G)


첫 제품인 우유는 국내 업체와 협업해 반년 만에 선보일 수 있었지만, 체다 슬라이스치즈는 출시까지 꼬박 2~3년이 걸렸다. 세계 최대 유제품 기업으로 꼽히는 뉴질랜드 폰테라와의 첫 거래인 탓이기도 했고, 폰테라가 요구하는 수준의 임가공 설비를 국내에 갖추는 것에만 1년가량 소요됐다. 특유의 노린내와 짠맛을 한국화한 레시피를 만드는 데도 반년 이상 걸렸다.

하 팀장은 “구매패턴을 분석해보면 유제품을 가장 많이 사는 것은 자신의 건강을 챙기려는 40~50대 중장년층인데, 먹는 양 대비 가격이 너무 비싸니 품질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대용량 벌크제품을 많이 사죠. 실제 주부들은 우유 같은 걸 사면 10~100원 단위 가격변동에도 민감합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일상 소비재는 품질이 높으면서도 가격이 낮은 하향 평준화, ‘디스카운트의 시대’가 옵니다. 온리프라이스 제품이 바로 그 결과물”이라라고 자신했다.

하영희 롯데마트 유제품C 대표MD(팀장)하영희 롯데마트 유제품C 대표MD(팀장)


요즘 그가 준비하는 것은 스트링 치즈, 그리고 원재료 가격이 일반보다 20% 비싼 유기농 아동치즈다. 그는 “언젠가 만난 외국인이 ‘한국 사람은 가공치즈만 먹지 않냐’고 물어 자존심이 확 상한 적 있다. 우리도 일본처럼 잘라먹는 모짜렐라 치즈 정도는 부담 없이 먹을 수 있지 않느냐는 생각도 들었다. 유기농·저염 성분으로 최고 품질의 자연치즈를 가장 합리적인 가격으로 내놓고 싶다. 업계 유가공제품 가격이 품질·맛 대비 천차만별인데 시장 가격의 기준을 제시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