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그냥 쉰다' 인구 역대 최대… 200만명 육박

일할 능력은 있지만 별다른 이유 없이 일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가 2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4분기에는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195만1,000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만여명 늘었고, 집계를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많다. 쉬었음 인구는 일할 능력이 있지만 병원 치료나 육아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서 일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통계상 실업자로도 분류되지 않는다.

관련기사



60세 이상 고령층이 쉬었음 인구의 증가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쉬었음 인구는 84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5,000명 늘며 역대 최대다. 50대의 쉬었음 인구도 3분기 연속 늘어나면서 40만6,000명으로 3개 분기 연속 증가세다. 41만4,000명을 기록했던 2013년 1·4분기 이래 가장 많다.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면서 비경제활동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인 11.7%다. 비경제활동인구 유형은 쉬었음 외에도 육아, 가사, 통학, 연로, 심신장애 등이 있다.

노인 일자리 중 임시직, 일용직 비중이 큰 점을 고려하면 쉬었음 인구 증가세는 최근 임시·일용직을 중심으로 고용 상황이 악화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60세 이상 쉬었음 인구 증가세에는 우선 고령화 추세로 노인 인구 자체가 늘어나는 영향이 있다”며 “최근 노인 일자리가 1~2년 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늘어나는 것도 원인”이라고 말했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