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편명도 목적지도 바꾼 김정은 태운 항공기… '007' 작전 방불

중국 고위급 항공기 편명 CA122→CA61로 바꾸고

베이징 항공서 목적지도 '베이징'서 '싱가포르'로

이동경로 감추려 새벽 운항 등 '연막작전'

상공에서 항공편명 바꾼 싱가포르행 중국 고위급 전용기/플라이트레이다24캡처상공에서 항공편명 바꾼 싱가포르행 중국 고위급 전용기/플라이트레이다24캡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중국 고위급 항공기가 10일 평양에서 싱가포르로 출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한이 ‘007’ 스파이 영화를 방불케 하는 작전을 펴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 항공기의 편명과 목적지가 갑작스럽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항공기 경로 추적사이트인 플라이트레이다24에 따르면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소속 중국 고위급 전용기인 CA121편(보잉747-4J6)은 이날 오전 4시18분(중국시간 기준) 베이징에서 평양으로 향했다. 이 항공기는 오전 6시20분(북한시간 기준)께 평양에 도착한 뒤 오전 8시 30분께 편명을 CA122으로 바꿔 평양 공항에서 이륙했다.


이 항공기에는 김 위원장이 탑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싱가포르 정부는 10일 오후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차례로 싱가포르에 도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항공기는 김 위원장의 경로를 감추기 위한 듯 여러 변칙적인 방법을 동원했다. CA122편은 약 20분 간 목적지를 공개하지 않은 채 운항을 하다가 갑자기 목적지를 ‘베이징’라고 공개했다. 베이징으로 향하던 CA122편은 이륙 후 1시간가량이 지나자 베이징 상공에 들어왔고, 홀연 항로 추적사이트에서 자취를 감췄다.

관련기사



잠시 뒤 사라졌던 CA122편은 새로운 편명을 단 채 다시 베이징 상공에 모습을 드러냈다. CA122편은 새로운 편명인 CA61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목적지도 베이징에서 싱가포르로 변경된 상태로 확인됐다. 하지만 변경이 불가능한 항공기 시리얼 넘버는 ‘25883’는 그대로였다. 김 위원장의 동선 노출을 꺼린 북한이 이례적으로 비행 도중 관체 콜사인인 ‘편명’을 바꾼 것으로 분석된다.

베이징 소식통은 “북한 입장에서는 정상회담에 제3국의 항공기를 빌리는 것과 최고 지도자의 안전을 위해 이동 경로 등을 공개하는 것을 꺼렸을 것”이라면서 “새벽시간 항공기를 이동하고, 비행 도중 항공기 편명을 바꾼 것은 일종의 연막작전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