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체면 대신 안전 택해...金 “우리 뒤에는 중국 있다” 메시지도

■참매1호 아닌 에어차이나 탄 이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본인의 전용기인 ‘참매’ 1호를 타지 않고 에어차이나(중국국제항공) 보잉747-4J6을 타고 싱가포르에 착륙하면서 그 배경과 의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무엇보다 ‘체면’보다는 ‘안전’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참매 1호는 지난 1995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싱가포르까지 가기에는 불안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비행거리가 1만㎞로 평양에서 싱가포르까지의 거리(4,700㎞)보다는 여유가 있지만 혹시 모를 사고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또 다롄 등 북한에서 300~400㎞밖에 떨어지지 않은 인근에서 비행을 한 적은 있어도 싱가포르 등 먼 곳까지 간 적이 없고 장거리 경험이 있는 조종사가 부족하다는 것도 단점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시진핑 국가주석, 리커창 총리, 후진타오 전 주석 등 중국 고위직도 타는 에어차이나의 이 기종은 평소에도 하루에 수십대씩 장거리 비행을 하기 때문에 안전성에서는 문제가 없다. 앞서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중국 항공기를 빌려 타는 것은 정상 국가를 표방하는 북한으로서는 자존심을 구기는 것이기 때문에 김 위원장이 참매를 탈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그는 에어차이나를 선택했다.

관련기사



미국에 무언의 메시지를 주는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중국이 제공한 항공기를 타고 싱가포르에 도착함으로써 “우리 뒤에는 중국이 있다”는 신호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줬다는 것이다. 향후 핵 협상에서 미국이 무리한 요구를 할 경우 이를 마냥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의미도 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에 옳은 선택을 할 것을 계속 언급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서 싱가포르로 오는 비행기 내에서도 트위터를 통해 북한이 옳은 선택을 할 것이라고 믿는다는 취지의 트윗을 여러 개 날리며 장외 압박을 계속했다.

/싱가포르=특별취재단 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