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북미정상회담 D-2] 김정은, 국제무대 '화려한 데뷔'...부친그늘 벗고 경제번영 길 가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0일 싱가포르에 첫발을 내딛는 걸로 국제무대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12일 세계 초강대국 미국과 ‘세기의 회담’을 치르기 위해 싱가포르에 모습을 드러내면서 서방의 외교무대에 처음으로 공식 데뷔하는 셈이다.


지난 2012년 집권한 김 위원장의 해외 나들이는 이웃인 중국 방문 두 차례뿐이다. 여기에 남북 정상회담을 위해 판문점 남측 지역을 다녀갔지만 서방 무대에 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단순한 데뷔가 아니다. 지난 70년간 첨예하게 대립해온 ‘적국’ 미국의 최고지도자와 화해의 손을 잡을지 결단해야 한다.


김 위원장은 부친이 물려준 ‘가난에 찌든’ 나라를 일으켜 세워야 한다는 강한 욕망과 ‘체제 수호의 강력한 보검’으로 내세웠던 핵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처지다. 전자를 취하고 후자를 버리는 결단이 필요하며 그럼으로써 북미관계 정상화로 갈 수 있는 대장정에 나선 셈이다.

관련기사



김 위원장은 1984년 1월8일 평양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고용희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강력한 일인 통치자의 아들로 ‘황태자’ 수저를 물고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부터 일반 북한 주민이 상상할 수 없는 부귀영화를 누리면서 살아왔다.

부친이 여러 부인을 둔 탓에 어릴 적부터 모친의 권력 지향적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고 권력 장악을 위해서는 경쟁자를 제거하는 데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부터 배웠다. 고모부 장성택과 이복형 김정남을 제거한 배경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10대 중반에 최고의 선진국 스위스의 베른에서 평범한 공립학교에 다니면서 선진 문물을 익혔다.

스위스 학교에서 가르치는 세계사 등 미국과 서방세계에 대한 다양한 수업은 모든 것을 스펀지처럼 빨아들이는 10대의 김 위원장 두뇌에 고스란히 입력됐다.
/싱가포르=특별취재단 정영현기자 yhchung@sedaily.com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